미타니 타이치로 지음
송병권·오미정 옮김
평사리 / 336쪽│1만6000원
유럽 제도 들여와 일본식으로 변형하고
헌법·정당 등을 '기능적 도구'로만 활용
"외부 것 가져와 일본화하는 대신에
국제공동체 일원으로 활동 나서야"
![GettyImagesBank](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684362.1.jpg)
일본 원로 정치학자이자 역사학자인 미타니 타이치로 도쿄대 명예교수는 최근 《일본 근대는 무엇인가》에서 근현대 천황제의 탄생에 대해 이같이 설명한다. 이를 통해 일본이 독일과 영국 등 유럽 주요국으로부터 ‘일본식으로 변형한 제도’를 도입했다고 덧붙인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일본의 근대 역사를 조망하는 개론서다. 하지만 내용은 상당히 깊고 묵직하다. 입헌군주제와 정당정치, 헌법 등 근대 민주주의 국가가 갖춰야 할 제도를 근대라는 틀을 만들기 위한 기능적 도구로만 활용했을 뿐이라고 지적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680733.1.jpg)
일본의 식민지제국 시기에 대해선 “일본 근대에서 최대의 부정적 유산이며 오늘날에도 청산되지 않았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일찍이 식민지였던 타국의 정치, 경제, 문화뿐만 아니라, 일본 자신에도 아직 치유되지 않은 상흔을 남겼다”며 한국과 중국에 대한 역사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오늘날 한국에서 ‘식민지 근대’의 현실로 이야기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일본도 한국도, 각각의 근대사를 일국사로서 쓸 수는 없다”며 “한·일 양국 근대의 불가분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양국이 역사를 공유하는 첫걸음”이라고 말한다.
2011년 3월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과 원전 사고가 일본의 우경화를 부를 수 있다고도 지적한다. 저자는 “일본에서는 ‘안전 보장 환경’의 변화를 강조하고, 나아가 군사력 강화(‘강병’)의 필요성마저 부르짖고 있다”며 “전후 부국노선이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자, ‘강병’의 주장을 다시 소환하는 듯하다”고 꼬집는다.
저자는 미래의 일본은 더 이상 외부에서 들여온 제도를 ‘일본화’하는 대신 국제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적극 활동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는 “지금까지 일본 근대화를 떠받치던 사회적 기반을, 이제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국제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공동체에 두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또 “국제공동체를 잘 조직, 운영함으로써 글로벌한 규모로 근대화 노선을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아시아 역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역설한다. 저자는 “과거 일본은 아시아의 우등생을 지향하며 내달렸다”며 “이젠 아시아에 대한 대외평화 확대와 국가를 넘어선 사회를 위한 교육이 필요해졌다”고 말한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