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들어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긍정평가 항목 단골 1순위는 '코로나 대처'다. 지난 2월 이후 무려 44주간 압도적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일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000명을 넘어서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을 지탱하던 이 항목이 오히려 악재로 부상하는 모양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코로나19 대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주춤한 가운데 부정 비율은 눈에 띄게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추가 확산에 '백신 디바이드'(격차) 논란까지 겹쳐질 경우 여론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12월 2주차 한국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부정 평가 이유로 '코로나19 미흡'을 지적한 응답자 비율은 6%로 전주 대비 3%포인트 증가했다. 순위도 전주 8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반면 긍정 평가 중 '코로나19 대처'를 꼽은 비율은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다. 순위는 지난 44주간 내내 1위를 기록 중이지만 4월 60% 가까이 오르던 이 그래프는 최근 들어 20%대 까지 떨어졌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코로나 대처에 따른 긍·부정률. 최근 들어 정부 방역 대처를 두고 긍정률은 하락하고 부정률이 상승하고 있다. /그래프=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문재인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코로나 대처에 따른 긍·부정률. 최근 들어 정부 방역 대처를 두고 긍정률은 하락하고 부정률이 상승하고 있다. /그래프=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종전까지 정부의 코로나19 대처에 대해선 긍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긍정, 부정이 일정한 비율을 유지했다. 하지만 12월 들어서 3차 유행 우려가 현실이 되자 정부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사람들이 차츰 부정 평가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2월부터 긍정 평가 이유 1순위에 올라 있는 코로나19 관련 응답은 8월 중순 코로나19 재확산 무렵부터 추석 전까지 40% 내외을 유지했고 이후 소폭 하락했을 때도 30%선을 지켰다"며 "하지만 12월 들어서는 30%를 밑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추석 이후 부정 평가 이유 1위을 유지하던 '부동산 문제' 비중이 최근 감소한 가운데 '코로나19 대처 미흡'이 지난 한 달간 점진적으로 늘었다"고 분석했다.

그간 코로나19 대처를 잘했다는 여론이 올해 대통령 지지율을 떠받치고 있었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산세에도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민심이 돌아서고 있다는 해석이다. 이에 이주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는 54%로 취임 후 최고치를, 긍정 평가는 38%로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12일 일일 확진자 수는 1030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그래프=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12일 일일 확진자 수는 1030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그래프=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11일 신규 확진자 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자, 전날 문 대통령은 "면목 없는 심정"이라면서 "코로나 상황을 조속히 안정시키지 못해 송구한 마음 금할 수 없다"고 사과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전날 확진자수는 1030명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또 한차례 경신하며 비상 상황이 극에 달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3차 유행으로 국민들 우려가 커진데다 정부가 너무 이르게 방역의 성공을 언급한 점이 반감을 산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앞으로 코로나19 심각성이 국정 지지에 가장 큰 변수로 떠오를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양승함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는 "감염 확산세가 커질수록 지지율 하락은 자명하다"며 "추미애 법무부장관과 윤석열 검찰청장 간의 갈등, 부동산 문제 등에 이어 악재만 늘고 있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미국 등 방역에 실패했다고 평가 받던 주요국은 연내 백신 접종을 앞두고 있는데, 'K방역'이라고 자평했던 한국은 최근 폭발적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라며 "그동안 긍정 평가가 높았던 만큼 실망감이 크게 작용한 측면이 있다"고 해석했다. 신 교수는 "앞으로 백신 접종 상황에서 다른 선진국들과 계속 비교가 이뤄진다는 점도 정부 입장에서는 부담"이라고 덧붙였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