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고작 '정직 2개월'…秋, 후폭풍 피하고 실리 챙겼나 [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편향성 논란 징계위 꾸리고도 정직 그쳐
보수 야권 "정권 수사 무마하기엔 충분한 시간"
보수 야권 "정권 수사 무마하기엔 충분한 시간"

일각에선 친여 인사들로 징계위를 구성했음에도 윤 총장에 대한 징계 수위가 예상보다 약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장진영 변호사도 "쫄보들의 합창"이라면서 "(징계위는) 검찰총장이 법관 사찰, 수사, 감찰 방해, 정치 개입을 했다면서 달랑 정직 2개월로 검찰총장 자리를 지켜줬다. 이런 직무유기가 어디 있고 이런 특혜징계가 어딨나"라고 비꼬았다.
국민의힘 소속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국민들이 무섭긴 무서웠나 보다"면서도 "2개월 정직은 교묘하게 실속을 챙긴 교활한 꼼수"라고 평가했다.
그는 "정직 2개월이면 문 정권이 본래 원하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공수처 신속 출범시키고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과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의혹) 사건을 공수처에 이첩해갈 수 있다"며 "국민 분노는 적당히 피해가고 정권이 원하는 소기의 목적은 이룰 수 있는 꼼수 중의 꼼수로 정직 2개월을 택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치권에선 징계위 결과가 나오기 전부터 윤석열 총장을 해임하는 무리수를 두기보단 정직 결정으로 '식물 총장'을 만드는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었다.

반면 정한중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 위원장 직무대리는 이날 과천 법무부 청사 앞에서 취재진과 만나 "국민이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양해 부탁드린다"며 "증거에 입각해 혐의와 양정을 정했다. 이번 양정에 대해 국민 질책은 달게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징계위가 중징계 결론을 정해놓고 논의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정해놓고 했으면 이렇게 (오래) 했겠나. 계속 결론이 안 나서 엄청 오래 했다"고 전했다. 청와대나 추미애 법무부 장관으로부터 지시를 받은 게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없다"고 답했다.
정한중 직무대리는 최종 결정이 늦어진 이유에 대해 "징계 수위를 놓고 토론이 길어졌다. 불미스러운 일을 오래 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밤샘 토론 끝에) 오늘 결정했다"며 "제기된 6가지 징계 사유 중 4개가 인정됐다. 징계위원들이 만장일치로 정직 2개월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