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전망대] 코로나 1년…'좀비기업' 얼마나 늘었을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국제사회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작년 말이었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의 위생건강위원회가 현지의 한 수산시장에서 원인 모를 폐렴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고 발표한 것을 중국중앙방송(CCTV)이 보도하고 이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영문으로 내보내면서 코로나19는 전 세계에 알려졌다. 이어 올해 1월 20일 우리나라를 방문한 중국인 여성이 처음 확진자 판정을 받으면서 한국도 ‘코로나19 영향권’에 본격 진입했다. 국내에선 2~3월 1차 대유행, 8월 2차 대유행에 이어 11월 중순부터 지금까지 3차 대유행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는 올 한 해 동안 지속되면서 저소득가구와 영세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국내 경제의 ‘약한 고리’에 큰 타격을 입혔다. 소득과 매출이 급감한 가계와 자업영자들은 유동성 위기에 빠지며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좀비기업’도 빠르게 늘고 있다.
[월요전망대] 코로나 1년…'좀비기업' 얼마나 늘었을까
한국은행이 오는 24일 발표하는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는 이런 측면에서 주목을 끈다.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한 올해 가계 및 기업의 부채 급증 규모, 국내 좀비기업 확대 규모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올 6월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최대 75만 가구는 기본적 씀씀이를 감당하지 못할 만큼 살림살이가 악화될 것으로 추정했다. 외부감사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내지 못하는 ‘이자보상비율 1배 미만’ 기업은 지난해 32.9%에서 올해 47.7%로 치솟을 것으로 추산했다. 모두 코로나 사태가 올 2분기 정점을 칠 것이란 가정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 코로나 사태가 올 4분기 최악의 상황에 빠져든 것을 고려하면, 이번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엔 더 부정적인 내용이 담길 가능성이 높다.

고용노동부는 21일 플랫폼 종사자 보호 대책을 내놓는다. 플랫폼 종사자는 배달기사처럼 앱, SNS 등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일하는 사람들이다. 정보통신기술(ICT)이 발전하면서 급증하고 있다. 법률적으론 개인사업자에 해당해 최저임금, 4대보험 등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사회안전망 보호를 못 받는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최근 “(대책에는) 보호 체계 구성, 안전망 강화 등을 담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이날 쌍용자동차 대출(900억원)의 만기연장 여부를 결정한다. 쌍용차가 JP모간 등 외국계 금융회사의 대출금(600억원) 연체를 해소하느냐 여부 등이 산은 만기 연장 결정에 중요한 요인이 될 전망이다. 다만 산은 만기 연장이 거부돼도 쌍용차는 어음 미결제처럼 부도가 나는 것은 아니고 연체이자율이 적용되는 단계로 접어들게 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3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효과 분석 결과를 발표한다. 지난 5월 전 국민에게 지급된 1차 긴급재난지원금이 어떻게 사용됐는지, 내수 확대 등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