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헬로비전, 내년 '3대 먹거리'에 힘 쏟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 편입 1년…체질개선 완료
유플러스와 협업…서비스 재정비
올해 실적보다 내실 다지기 집중
내년초 '프리미엄 셋톱' 출시
공공 클라우드·전기차 사업 시동
유플러스와 협업…서비스 재정비
올해 실적보다 내실 다지기 집중
내년초 '프리미엄 셋톱' 출시
공공 클라우드·전기차 사업 시동
LG그룹 편입 1주년을 맞는 LG헬로비전(대표 송구영)이 반등을 노린다. 올해가 모회사인 LG유플러스와의 사업 시너지를 바탕으로 영업이익을 늘리는 등 내실 다지기에 주력한 해라면 출범 2년차인 2021년은 프리미엄 셋톱박스, 공공 클라우드, 전기차 충전 사업 등 새 먹거리 확보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출범 이후 LG헬로비전은 양적 성장 대신 서비스 품질 높이기에 집중해왔다. 케이블TV와 인터넷, 알뜰폰 등 양사의 사업영역이 겹치는 분야가 많아 협력할 여지가 컸기 때문이다. 송구영 LG헬로비전 대표가 취임 직후 “케이블TV 등 회사 주력 서비스의 품질 개선을 통해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케이블TV인 ‘헬로tv’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LG유플러스의 콘텐츠를 활용했다. LG유플러스의 키즈 콘텐츠 ‘U+아이들나라’를 가져와 콘텐츠를 보강하는 전략이다. 또 권역 내 기가인터넷 커버리지(서비스 지역)를 99%까지 높였다. 이 역시 LG유플러스의 기가인터넷망을 활용했다. 알뜰폰 사업에서는 ‘헬로모바일’에 LG유플러스 망 전용의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했다. 송 대표는 “케이블TV의 지역 기반 사업 경쟁력을 활용해 차별적 사업영역을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치적인 성과는 아직 미미하다. 헬로tv의 3분기 가입자 수는 415만2000명으로 작년 동기(418만5000명)보다 소폭 줄었다. 알뜰폰 가입자도 61만2000명으로 같은 기간 약 16% 줄었다.
반면 사업 체력은 개선됐다는 평가다. 기가인터넷 전국망을 확보한 덕에 인터넷의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1만1663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9.01% 늘었다. 알뜰폰 가입자 중 4세대 이동통신(LTE) 비중도 77%로 1년 전(69%)에 비해 늘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젊은 세대 유입으로 이미지 개선에도 성공했다는 평을 듣는다. 헬로tv에 U+tv의 아이들나라를 넣으면서 30~40대 부모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알뜰폰 사업에서도 2030세대를 겨냥한 상품 개발과 마케팅으로 30대 이하 가입자 비중이 40% 이상으로 높아졌다.
프리미엄 셋톱박스와 콘텐츠 개선으로 고객을 잡는다는 목표다. 회사는 내년 초 넷플릭스와 유튜브, 아이들나라를 모두 담은 통합 프리미엄 셋톱박스를 출시한다.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인 20~40대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케이블TV의 강점을 살린 지역 콘텐츠를 대거 제작하고, 다른 채널에도 판매하기로 했다.
미래 먹거리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2016년 출시 후 지속 성장하고 있는 가전 렌털 사업은 개인별·상황별 맞춤 서비스로 탈바꿈시킨다. 클라우드 사업의 기반인 ‘클라우드PC’도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 사업에서도 케이블TV 영업망이 깔린 아파트·공공주택 시장을 집중 공략하는 등 본격적인 시동을 걸 방침이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
2030 고객 유입으로 젊어진 ‘헬로’
오는 24일 출범 1주년을 맞는 LG헬로비전은 새로운 통합 성장전략을 올해 안에 확정해 내년 초 직원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LG헬로비전은 작년 이맘때 ‘CJ헬로’에서 ‘LG헬로비전’으로 사명을 바꾸며 LG그룹 식구로 새출발했다.출범 이후 LG헬로비전은 양적 성장 대신 서비스 품질 높이기에 집중해왔다. 케이블TV와 인터넷, 알뜰폰 등 양사의 사업영역이 겹치는 분야가 많아 협력할 여지가 컸기 때문이다. 송구영 LG헬로비전 대표가 취임 직후 “케이블TV 등 회사 주력 서비스의 품질 개선을 통해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케이블TV인 ‘헬로tv’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LG유플러스의 콘텐츠를 활용했다. LG유플러스의 키즈 콘텐츠 ‘U+아이들나라’를 가져와 콘텐츠를 보강하는 전략이다. 또 권역 내 기가인터넷 커버리지(서비스 지역)를 99%까지 높였다. 이 역시 LG유플러스의 기가인터넷망을 활용했다. 알뜰폰 사업에서는 ‘헬로모바일’에 LG유플러스 망 전용의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했다. 송 대표는 “케이블TV의 지역 기반 사업 경쟁력을 활용해 차별적 사업영역을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치적인 성과는 아직 미미하다. 헬로tv의 3분기 가입자 수는 415만2000명으로 작년 동기(418만5000명)보다 소폭 줄었다. 알뜰폰 가입자도 61만2000명으로 같은 기간 약 16% 줄었다.
반면 사업 체력은 개선됐다는 평가다. 기가인터넷 전국망을 확보한 덕에 인터넷의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1만1663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9.01% 늘었다. 알뜰폰 가입자 중 4세대 이동통신(LTE) 비중도 77%로 1년 전(69%)에 비해 늘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젊은 세대 유입으로 이미지 개선에도 성공했다는 평을 듣는다. 헬로tv에 U+tv의 아이들나라를 넣으면서 30~40대 부모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알뜰폰 사업에서도 2030세대를 겨냥한 상품 개발과 마케팅으로 30대 이하 가입자 비중이 40% 이상으로 높아졌다.
“워밍업은 끝…내년부터 본격 성과”
내년부터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게 관건이다. 송 대표는 “지난 1년간은 상품과 서비스 개선 노력으로 경쟁력을 갖췄다”며 “내년에는 우수한 품질과 합리적 가격의 서비스를 고객과 시장에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프리미엄 셋톱박스와 콘텐츠 개선으로 고객을 잡는다는 목표다. 회사는 내년 초 넷플릭스와 유튜브, 아이들나라를 모두 담은 통합 프리미엄 셋톱박스를 출시한다.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인 20~40대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케이블TV의 강점을 살린 지역 콘텐츠를 대거 제작하고, 다른 채널에도 판매하기로 했다.
미래 먹거리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2016년 출시 후 지속 성장하고 있는 가전 렌털 사업은 개인별·상황별 맞춤 서비스로 탈바꿈시킨다. 클라우드 사업의 기반인 ‘클라우드PC’도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 사업에서도 케이블TV 영업망이 깔린 아파트·공공주택 시장을 집중 공략하는 등 본격적인 시동을 걸 방침이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