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T·카카오 동맹…팬데믹 극복 '방역 AI'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첫 합작품 내년 상반기 공개
"종로 확진자 강남으로 이동"
일정 맞춰 실시간 대응 안내
"종로 확진자 강남으로 이동"
일정 맞춰 실시간 대응 안내

갈수록 악화되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내년 상반기 ‘팬데믹 극복 AI’를 첫 합작품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팬데믹 극복 AI는 유동인구 빅데이터와 공공 재난 정보 등을 통해 현재 위치의 코로나19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이용자 스마트폰에 기록된 일정과 항공·공연·숙박 등 예약 정보, 평상시 이동 경로 등으로 알맞은 대처 방안을 안내한다.
3사는 팬데믹 AI를 별도 서비스로 만들기보다는 ‘백엔드 AI 플랫폼’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핵심 기능과 기술을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로 개발자, 연구기관, 기업 등에 개방해 다른 앱·서비스에 활용하도록 하는 공공 플랫폼 형태다.
3사 협력은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전시회 ‘CES 2020’에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에 AI 분야 협력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박 사장은 “글로벌 AI 전쟁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국내 기업 간 경쟁보다는 초(超)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공동 실무 그룹을 발족했고 이후 최고기술경영자(CTO)급 워크숍을 격주 단위로 운영하면서 구체적 논의를 진행했다.이들은 팬데믹 극복 AI를 시작으로 사회 고령화, 미세먼지 등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AI 연구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협력과 합류를 원하는 IT 기업이 있다면 문호를 확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