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한미연합훈련 중단해 北 자극말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인영 통일부 장관(오른쪽)이 정세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왼쪽)과 지난 23일 오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회의 시간'을 주제로 온라인 특별 대담을 하고 있다. 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822865.1.jpg)
정 부의장은 지난 24일 공개된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의 특별 대담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 취임 초 선물로 2021년 연합훈련은 한국 정부의 요청에 의해 중단, 최소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평창올림픽 전 연합훈련 중단을 두고 미국과 협의하겠다는 메시지를 냈던 사례를 들며 “이런 식의 메시지 나가면 참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대담에서 정 부의장은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에 대해 “북한이 합의의 상징인 4·27 파기에 대한 반격식으로 행동한 것”이라며 책임을 우리 측에 돌렸다. 정 부의장은 “남북 정상의 4·27 판문점 선언 합의에서 전단 살포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내 민간 단체가 대북 전단을 살포한 것이 판문점 선언의 위반이고,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한 것은 이에 대한 ‘맞대응’ 조치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발언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발언과 일맥상통한다. 김여정은 지난 6월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 “확실하게 남조선 것들과 결별할 때가 된 듯 하다. 우리는 곧 다음 단계의 행동을 취할 것”이라며 “멀지 않아 쓸모 없는 북남(남북) 공동 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김여정의 이같은 담화가 발표된지 사흘 만에 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다음달 북한의 8차 노동당대회와 바이든 당선인의 취임이 예정된 가운데 이 장관은 남북한 관계에 ‘소프트랜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미국과 관련해서는 좀 유보적·유화적 입장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남측에는 긍정적이고 적극적 접근 해 올 가능성이 있어 보이며 그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