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북한 1인당 국민소득 141만원…남한의 27분의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 소득 차이 20년새 15배 → 27배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북한의 주요통계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1인당 GNI는 140만8000원으로, 전년(142만8000원)보다 감소했다. 북한의 1인당 GNI는 2017년 146만4000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다.남북의 GNI를 비교하면, 북한의 열악한 상황이 더 잘 드러난다. 1999년만 해도 남한의 1인당 GNI는 1255만원, 북한은 83만원으로 15배 차이가 났다. 하지만 2009년엔 21배로 벌여졌고 작년엔 27배까지 확대됐다. 작년 북한의 GNI 총액은 35조6000억원으로, 남한(1936조원)의 5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작년 북한의 경제성장률(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0.4%로 추정됐다. 2017년(-3.5%), 2018년(-4.1%) 두 해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벗어나 3년 만에 상승으로 전환했다. 관광지구 개발에 따른 건설업의 성장, 무역 개선 등이 영향을 줬다.
북한도 2038년부터 인구 감소
북한도 저출산 고령화 흐름의 예외가 아니었다. 통계청은 "작년 북한 인구는 2525만명이고 2038년부터 인구 감소가 시작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남한의 인구 감소 시점(2029년)보다는 늦지만 북한도 출산율 감소 문제가 심각하다는 얘기다. 북한의 합계출산율은 1995~2000년 2.01명이었으나 2005~2010년 1.95명, 2015~2020년 1.9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65세 이상 고령자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8.8%에서 작년 9.9%로 늘었다. 보통 65세 인구 비중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로 분류된다. 한국은 이 비중이 작년 14.9%에 이른다. 고령화 사회보다 심각한 '고령사회(65세 비중 14%)'에 이미 진입했다.
남북이 모두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시달리면서, 남북한 총인구는 2033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남북이 통일돼도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은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