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증시 호조에 파생결합증권 조기상환 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월말 잔액 101조, 6월말보다 6.7%↓
증시 호조로 지난 3분기에 파생결합증권(ELS·DLS)의 조기상환이 늘었다.
29일 금융감독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100조9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6.2% 감소했다.
발행액(16조원)은 1.3%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상환액(22조1천억원)이 66.2% 급증한 결과다.
금감원은 글로벌 증시 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상황에서 향후 지수 조정에 따른 손실을 예상한 투자자의 파생결합증권 수요가 위축되면서 조기상환에 비해 신규발행이 정체됐다고 분석했다.
종류별로 보면 주가연계증권(ELS·ELB)의 3분기 발행액은 9조8천억원으로, 2분기보다 7.5% 줄었다.
상환액은 186.3% 많은 14조6천억원이었다.
원금보장형 발행액은 1조7천억원으로 2분기 대비 65.3% 감소했지만, 원금비보장형 발행액은 8조1천억원으로 42.1% 증가했다.
그중 원금보장비율이 80% 미만인 고난도 ELS 발행은 7조7천억원으로, 2분기보다 45.3% 증가했다.
전체 발행액 중 78.8%를 차지한다.
S&P500, 유로스톡스50, 홍콩H지수 등 글로벌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잔액은 2분기보다 줄었지만, 코스피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발행잔액(23조4천억원)만 2.6% 증가했다.
지난 7월 발표된 정부의 파생결합증권 시장 건전화 방안 중 레버리지 비율 산정 시 국내지수 ELS에 대한 가중치 추진 방침에 따라 관련 ELS의 발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3분기 DLS 발행액은 6조2천억원이었다.
원금 보장형 발행액은 4조4천억원으로 46.7% 증가했지만, 원금비보장형은 1조8천억원으로 21.7% 감소했다.
DLS 상환액은 2분기보다 8.5% 감소한 7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규모는 줄었다.
9월말 기준 58조4천억원으로, 석달 전보다 8.6% 감소했다.
비중도 59.4%에서 57.8%로 1.6%p 줄었다.
금감원은 "3월 글로벌 증시 급락 과정에서 발생한 ELS 마진콜 사태를 경험하면서 대형사 위주로 자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익은 투자자의 3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3.1%(연평균), DLS는 1.3%였다.
2분기 대비 각각 0.5%p, 0.9%p 늘었다.
증권회사의 발행·운용 손익은 3천685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보다 4천82억원이 늘었다.
글로벌 증시 상승으로 조기 상환이 활발해지고 증권사들의 헤지자산 거래 여건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금감원은 풀이했다.
/연합뉴스
29일 금융감독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100조9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6.2% 감소했다.
발행액(16조원)은 1.3%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상환액(22조1천억원)이 66.2% 급증한 결과다.
금감원은 글로벌 증시 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상황에서 향후 지수 조정에 따른 손실을 예상한 투자자의 파생결합증권 수요가 위축되면서 조기상환에 비해 신규발행이 정체됐다고 분석했다.
종류별로 보면 주가연계증권(ELS·ELB)의 3분기 발행액은 9조8천억원으로, 2분기보다 7.5% 줄었다.
상환액은 186.3% 많은 14조6천억원이었다.
원금보장형 발행액은 1조7천억원으로 2분기 대비 65.3% 감소했지만, 원금비보장형 발행액은 8조1천억원으로 42.1% 증가했다.
그중 원금보장비율이 80% 미만인 고난도 ELS 발행은 7조7천억원으로, 2분기보다 45.3% 증가했다.
전체 발행액 중 78.8%를 차지한다.
S&P500, 유로스톡스50, 홍콩H지수 등 글로벌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잔액은 2분기보다 줄었지만, 코스피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발행잔액(23조4천억원)만 2.6% 증가했다.
지난 7월 발표된 정부의 파생결합증권 시장 건전화 방안 중 레버리지 비율 산정 시 국내지수 ELS에 대한 가중치 추진 방침에 따라 관련 ELS의 발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3분기 DLS 발행액은 6조2천억원이었다.
원금 보장형 발행액은 4조4천억원으로 46.7% 증가했지만, 원금비보장형은 1조8천억원으로 21.7% 감소했다.
DLS 상환액은 2분기보다 8.5% 감소한 7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규모는 줄었다.
9월말 기준 58조4천억원으로, 석달 전보다 8.6% 감소했다.
비중도 59.4%에서 57.8%로 1.6%p 줄었다.
금감원은 "3월 글로벌 증시 급락 과정에서 발생한 ELS 마진콜 사태를 경험하면서 대형사 위주로 자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익은 투자자의 3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3.1%(연평균), DLS는 1.3%였다.
2분기 대비 각각 0.5%p, 0.9%p 늘었다.
증권회사의 발행·운용 손익은 3천685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보다 4천82억원이 늘었다.
글로벌 증시 상승으로 조기 상환이 활발해지고 증권사들의 헤지자산 거래 여건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금감원은 풀이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