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드 "한 번 접종하는 코로나 백신 임상 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창율 셀리드 대표
아스트라제네카와 유사한 방식
원숭이 대상 동물실험서 효과
아스트라제네카와 유사한 방식
원숭이 대상 동물실험서 효과
“이번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백신의 임상을 시작했습니다. 정부와 보건당국의 지원만 뒷받침되면 늦어도 내년 3분기엔 국산 백신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사진)는 30일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이틀 만에 완전히 사멸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표는 2006년 서울대 바이오벤처로 셀리드를 세웠다. 주요 연구개발(R&D) 분야는 항암면역백신이다. 주요 플랫폼 기술로 ‘셀리백스’를 보유했다. 항원제시세포(T세포를 자극하는 세포)에 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키는 항원의 유전정보를 넣은 뒤 다시 면역증강물질을 결합시킨 플랫폼이다.
강 대표는 “여기서 항원을 용의자의 몽타주에 비유할 수 있다”며 “항원(몽타주)을 전달해 우리 몸의 가장 강력한 면역세포인 T세포가 암세포나 바이러스를 잡도록 한 원리”라고 했다. 그는 “지금껏 항암 백신 개발을 위해 암세포 항원을 넣던 자리에 코로나바이러스 항원을 대신 넣은 것이 지금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가 개발 중인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존슨앤드존슨) 등이 개발 중인 백신과 비슷한 바이러스 벡터 방식이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두 번 접종해야 하는 것과 달리 한 번만 맞으면 되도록 개발 중이다. 상온 유통도 가능하다. 강 대표는 “두 번 접종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것은 물론 접종과 유통에 들어가는 비용도 낮출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빨리 백신을 내놓은 모더나와 화이자가 지금은 주목받고 있지만 효능이 더 좋은 백신들이 내년에 출시되면 판도가 바뀔 수도 있다”고도 했다.
셀리드는 최근 임상1·2a상을 위한 임상 참가자 선별 작업에 들어갔다. 총 150명을 모아 진행하는 것이 목표다. 임상 2·3상은 1500명 내외로 준비 중이다. 글로벌 제약사 등에 비해 임상 규모는 작지만 이미 개발된 외산 백신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해 긴급사용승인을 받겠다는 게 목표다. 강 대표는 “국산 대상포진 백신 또한 이 같은 방식으로 시판허가를 받은 사례가 있다”며 “도쿄올림픽을 준비하는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백신 품귀 현상이 예상되고 있어 우리가 개발 중인 백신이 설 자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강창율 셀리드 대표(사진)는 30일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이틀 만에 완전히 사멸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표는 2006년 서울대 바이오벤처로 셀리드를 세웠다. 주요 연구개발(R&D) 분야는 항암면역백신이다. 주요 플랫폼 기술로 ‘셀리백스’를 보유했다. 항원제시세포(T세포를 자극하는 세포)에 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키는 항원의 유전정보를 넣은 뒤 다시 면역증강물질을 결합시킨 플랫폼이다.
강 대표는 “여기서 항원을 용의자의 몽타주에 비유할 수 있다”며 “항원(몽타주)을 전달해 우리 몸의 가장 강력한 면역세포인 T세포가 암세포나 바이러스를 잡도록 한 원리”라고 했다. 그는 “지금껏 항암 백신 개발을 위해 암세포 항원을 넣던 자리에 코로나바이러스 항원을 대신 넣은 것이 지금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가 개발 중인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존슨앤드존슨) 등이 개발 중인 백신과 비슷한 바이러스 벡터 방식이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두 번 접종해야 하는 것과 달리 한 번만 맞으면 되도록 개발 중이다. 상온 유통도 가능하다. 강 대표는 “두 번 접종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것은 물론 접종과 유통에 들어가는 비용도 낮출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빨리 백신을 내놓은 모더나와 화이자가 지금은 주목받고 있지만 효능이 더 좋은 백신들이 내년에 출시되면 판도가 바뀔 수도 있다”고도 했다.
셀리드는 최근 임상1·2a상을 위한 임상 참가자 선별 작업에 들어갔다. 총 150명을 모아 진행하는 것이 목표다. 임상 2·3상은 1500명 내외로 준비 중이다. 글로벌 제약사 등에 비해 임상 규모는 작지만 이미 개발된 외산 백신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해 긴급사용승인을 받겠다는 게 목표다. 강 대표는 “국산 대상포진 백신 또한 이 같은 방식으로 시판허가를 받은 사례가 있다”며 “도쿄올림픽을 준비하는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백신 품귀 현상이 예상되고 있어 우리가 개발 중인 백신이 설 자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