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장관 "탄소중립 시대, 농사 방식 완전히 바꿔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일 신년사를 통해 "탄소중립은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농업과도 긴밀하게 연결된 온실가스 문제 해결을 위해 농사 방식 변화 등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신년사에서 '2050 탄소중립'이 농업과 큰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가축을 키울 때는 물론, 쌀과 채소 등을 재배하는 데도 온실가스가 다량 발생한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가축의 장내 발효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조사료 품질을 개선하고, 벼를 재배할 때 생육 기간 중 물을 완전히 배수하는 등 농사 방식을 바꿔야한다"고 말했다. "채소 재배 온실의 에너지원을 대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지난해 첫 걸음을 뗀 공익직불제에 대해서도 "넷제로 시대 생산구조 전환과 연계해 비료와 농약 사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중장기 발전방향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김 장관은 가축 방역 체계 제도화도 강조했다. 지난 2019년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조류 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질병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방역 체계를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이다. 김 장관은 "가축전염병 발생 우려가 높은 지역은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하고 강화된 방역 시설기준을 적용하고 있지만 법적인 장치나, 제도적 유인이 미흡해 축산농가의 자발적 협조에만 의존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며 "올해는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사전 방역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겨냥한 농업의 장기적 발전방향도 언급했다. 김 장관은 특히 농업의 디지털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 장관은 "노동집약적인 농업 분야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스마트팜을 비롯한 첨단 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험과 감각에 의존하던 농업인의 농사기술이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계량화, 객관화될 수 있다"며 "올해 완공되는 김제, 상주, 밀양, 고흥 4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농업 혁신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살기 좋은 농촌을 조성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김 장관은 "코로나19는 우리에게 ‘어디서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도시에서 벗어난 삶의 터전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우리의 농촌은 도시의 대안이 되기에 부족한 점이 너무나 많다"며 "올해 농촌 공간 재생사업이 변화의 신호탄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김 장관은 이날 신년사에서 '2050 탄소중립'이 농업과 큰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가축을 키울 때는 물론, 쌀과 채소 등을 재배하는 데도 온실가스가 다량 발생한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가축의 장내 발효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조사료 품질을 개선하고, 벼를 재배할 때 생육 기간 중 물을 완전히 배수하는 등 농사 방식을 바꿔야한다"고 말했다. "채소 재배 온실의 에너지원을 대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지난해 첫 걸음을 뗀 공익직불제에 대해서도 "넷제로 시대 생산구조 전환과 연계해 비료와 농약 사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중장기 발전방향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김 장관은 가축 방역 체계 제도화도 강조했다. 지난 2019년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조류 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질병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방역 체계를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이다. 김 장관은 "가축전염병 발생 우려가 높은 지역은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하고 강화된 방역 시설기준을 적용하고 있지만 법적인 장치나, 제도적 유인이 미흡해 축산농가의 자발적 협조에만 의존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며 "올해는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사전 방역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겨냥한 농업의 장기적 발전방향도 언급했다. 김 장관은 특히 농업의 디지털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 장관은 "노동집약적인 농업 분야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스마트팜을 비롯한 첨단 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험과 감각에 의존하던 농업인의 농사기술이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계량화, 객관화될 수 있다"며 "올해 완공되는 김제, 상주, 밀양, 고흥 4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농업 혁신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살기 좋은 농촌을 조성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김 장관은 "코로나19는 우리에게 ‘어디서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도시에서 벗어난 삶의 터전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우리의 농촌은 도시의 대안이 되기에 부족한 점이 너무나 많다"며 "올해 농촌 공간 재생사업이 변화의 신호탄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