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한경 신춘문예] "오래된 옛 컴퓨터로 쓴 마지막 작품…눈물나게 기뻤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나리오 부문 - 김유현 씨
“얼마 전 컴퓨터를 비싼 제품으로 바꿨어요. 출품작은 오랫동안 사용했던 컴퓨터로 쓴 마지막 작품이었죠. 이번 당선은 그동안 저와 함께 수많은 글을 써냈던 그 옛 컴퓨터에 대한 보답이자 오랜 시간 고생한 제게 주는 선물 같습니다.”
2021 한경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서 ‘슈팅’으로 당선된 김유현 씨(32)는 “신춘문예에 두 번째 도전이었는데 꿈에서도 생각지 못했던 당선 통보 전화에 눈물 나게 기뻤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선작 ‘슈팅’은 유튜브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을 위해 필수적인 수단이 된 SNS를 소재로 풀어낸 판타지물이다. 녹화하면 완벽한 영상물이 되지만 그 녹화 영상에 찍힌 사람은 사라지는 스마트폰을 갖게 된 주인공 호영기는 폰의 능력으로 스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되지만 끝내 폰에 삶을 잠식당한다. 수많은 소재 중 왜 SNS를 선택했을까.
“SNS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글들이 쉽게 올라오지만 또 쉽게 사라져 다시 찾아보기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어요. 이처럼 정보가 빠르게 흘러가 버리고 또 다른 정보가 손쉽게 만들어지는 시대를 살면서 ‘만일 그 정보가 잘못된 거라면 어떻게 될까’ 생각하니 소름 끼치게 무섭더라고요. 나름의 규칙과 검증을 바탕으로 정보를 만드는 신문이나 TV 방송과 달리 SNS는 잘못된 정보라도 해명이나 수정 없이 쉽게 사라지고 사람들 역시 이를 쉽게 잊는다는 걸 지적하고 싶었죠.”
어린 시절부터 연극을 좋아했던 김씨는 중앙대 연극영화과에 진학해 무대미술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일찌감치 전공이 자신의 적성과 안 맞는다는 걸 알게 된 그는 대학을 중퇴했다. 하지만 수업 시간에 가장 재미있게 들었던 영화과의 한 수업이 끊임없이 머리에 맴돌았다. 그는 “시나리오를 읽고 분석하는 수업이었는데 어느 과목보다도 재미있고 즐거웠다”며 “자연스럽게 글 자체에 관심이 많아졌고 글쓰기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글쓰기 재능은 당장 결과로 나타났다.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창작산실 공모전에서 ‘라흐마니노프’라는 뮤지컬 극본을 출품해 뮤지컬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러시아 음악가 라흐마니노프의 삶을 소재로 그의 내면의 상처와 치유를 이야기로 펼쳐낸 작품이다. 2016년부터 국내에서 5년 동안 상연되며 평단과 관객의 고른 호평을 받았다. 2018년에는 중국에 진출하기도 했다.
뮤지컬 극본으로 성공을 맛봤지만 김씨는 2015년 돌연 시나리오로 방향을 틀었다. 극작가의 박한 처우를 몸소 겪은 탓이다. 드라마 아카데미에 다니며 유명 영화·드라마 시나리오를 닥치는 대로 읽었다. 영상물에 대한 열의를 눈여겨본 아카데미 강사들이 그에게 방송국 보조작가 일을 주선해줬다. 하지만 4~5년 동안 일하며 세 작품을 준비했는데 모두 엎어졌다. 그때마다 보조작가보다는 내 머릿속 재미있는 이야기를 영상으로 직접 구현해보고 싶은 생각이 더욱 절실해졌다. 그가 생각하는 시나리오의 매력은 무엇일까.
“처음엔 내 안에 있는 무수히 많은 망상들을 그저 글로 표현해내는 게 좋았습니다. 그런데 쓸수록 ‘그래, 인간이란 원래 저런 거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야기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캐릭터에 집중하게 됐어요. 시나리오 속 캐릭터들이 실제 우리와 얼마나 닮아 있고 얼마나 비슷하게 행동하며 살아가는지 알게 된다는 점이 저로 하여금 무한한 흥미를 느끼게 했죠.”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인간의 본성과 스마트폰 플랫폼이 만나면서 기괴하게 변하는 모습이 흡입력 있게 다가왔다는 게 ‘슈팅’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공통된 평이다. 김씨는 자신의 이야기가 가진 강점으로 ‘시의성’을 꼽았다.
“지금 이 시대를 담아내고 또 관통하는 이야기예요. 몇 년 후엔 옛날이야기가 되겠지만 우선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부터 사로잡은 뒤 내 이야기를 풀어내고 싶었죠. 이 시대를 사는 누구든 익숙함을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게 제 작품에 몰입하게 되는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계를 위해 지난해 콘텐츠 제작사에 입사한 그는 드라마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프로듀서로 일하며 틈틈이 시나리오는 물론 웹소설까지 쓰고 있다. 앞으로 어떤 작품을 하고 싶을까.
“당장 일을 하고 있어 꾸준히 집중적으로 글을 쓰기엔 어려움이 있긴 합니다. 틈나는 대로 올해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나올 예정인 제 웹소설에 집중하려고 해요. 그 다음엔 뮤지컬 각본을 써봤던 경험을 살려 뮤지컬 드라마나 뮤지컬 영화 시나리오를 써보고 싶습니다. 무엇보다도 소소한 이야기를 아주 재밌게 풀어내면서도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작품을 쓰는 작가가 되는 게 저의 작은 꿈입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2021 한경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서 ‘슈팅’으로 당선된 김유현 씨(32)는 “신춘문예에 두 번째 도전이었는데 꿈에서도 생각지 못했던 당선 통보 전화에 눈물 나게 기뻤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선작 ‘슈팅’은 유튜브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을 위해 필수적인 수단이 된 SNS를 소재로 풀어낸 판타지물이다. 녹화하면 완벽한 영상물이 되지만 그 녹화 영상에 찍힌 사람은 사라지는 스마트폰을 갖게 된 주인공 호영기는 폰의 능력으로 스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되지만 끝내 폰에 삶을 잠식당한다. 수많은 소재 중 왜 SNS를 선택했을까.
“SNS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글들이 쉽게 올라오지만 또 쉽게 사라져 다시 찾아보기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어요. 이처럼 정보가 빠르게 흘러가 버리고 또 다른 정보가 손쉽게 만들어지는 시대를 살면서 ‘만일 그 정보가 잘못된 거라면 어떻게 될까’ 생각하니 소름 끼치게 무섭더라고요. 나름의 규칙과 검증을 바탕으로 정보를 만드는 신문이나 TV 방송과 달리 SNS는 잘못된 정보라도 해명이나 수정 없이 쉽게 사라지고 사람들 역시 이를 쉽게 잊는다는 걸 지적하고 싶었죠.”
어린 시절부터 연극을 좋아했던 김씨는 중앙대 연극영화과에 진학해 무대미술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일찌감치 전공이 자신의 적성과 안 맞는다는 걸 알게 된 그는 대학을 중퇴했다. 하지만 수업 시간에 가장 재미있게 들었던 영화과의 한 수업이 끊임없이 머리에 맴돌았다. 그는 “시나리오를 읽고 분석하는 수업이었는데 어느 과목보다도 재미있고 즐거웠다”며 “자연스럽게 글 자체에 관심이 많아졌고 글쓰기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글쓰기 재능은 당장 결과로 나타났다.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창작산실 공모전에서 ‘라흐마니노프’라는 뮤지컬 극본을 출품해 뮤지컬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러시아 음악가 라흐마니노프의 삶을 소재로 그의 내면의 상처와 치유를 이야기로 펼쳐낸 작품이다. 2016년부터 국내에서 5년 동안 상연되며 평단과 관객의 고른 호평을 받았다. 2018년에는 중국에 진출하기도 했다.
뮤지컬 극본으로 성공을 맛봤지만 김씨는 2015년 돌연 시나리오로 방향을 틀었다. 극작가의 박한 처우를 몸소 겪은 탓이다. 드라마 아카데미에 다니며 유명 영화·드라마 시나리오를 닥치는 대로 읽었다. 영상물에 대한 열의를 눈여겨본 아카데미 강사들이 그에게 방송국 보조작가 일을 주선해줬다. 하지만 4~5년 동안 일하며 세 작품을 준비했는데 모두 엎어졌다. 그때마다 보조작가보다는 내 머릿속 재미있는 이야기를 영상으로 직접 구현해보고 싶은 생각이 더욱 절실해졌다. 그가 생각하는 시나리오의 매력은 무엇일까.
“처음엔 내 안에 있는 무수히 많은 망상들을 그저 글로 표현해내는 게 좋았습니다. 그런데 쓸수록 ‘그래, 인간이란 원래 저런 거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야기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캐릭터에 집중하게 됐어요. 시나리오 속 캐릭터들이 실제 우리와 얼마나 닮아 있고 얼마나 비슷하게 행동하며 살아가는지 알게 된다는 점이 저로 하여금 무한한 흥미를 느끼게 했죠.”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인간의 본성과 스마트폰 플랫폼이 만나면서 기괴하게 변하는 모습이 흡입력 있게 다가왔다는 게 ‘슈팅’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공통된 평이다. 김씨는 자신의 이야기가 가진 강점으로 ‘시의성’을 꼽았다.
“지금 이 시대를 담아내고 또 관통하는 이야기예요. 몇 년 후엔 옛날이야기가 되겠지만 우선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부터 사로잡은 뒤 내 이야기를 풀어내고 싶었죠. 이 시대를 사는 누구든 익숙함을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게 제 작품에 몰입하게 되는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계를 위해 지난해 콘텐츠 제작사에 입사한 그는 드라마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프로듀서로 일하며 틈틈이 시나리오는 물론 웹소설까지 쓰고 있다. 앞으로 어떤 작품을 하고 싶을까.
“당장 일을 하고 있어 꾸준히 집중적으로 글을 쓰기엔 어려움이 있긴 합니다. 틈나는 대로 올해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나올 예정인 제 웹소설에 집중하려고 해요. 그 다음엔 뮤지컬 각본을 써봤던 경험을 살려 뮤지컬 드라마나 뮤지컬 영화 시나리오를 써보고 싶습니다. 무엇보다도 소소한 이야기를 아주 재밌게 풀어내면서도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작품을 쓰는 작가가 되는 게 저의 작은 꿈입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