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일거수일투족 주목…'정치에 선 안 긋는다' 지적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석열 검찰총장이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1위에 오르면서 그의 일거수일투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신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부터 윤 총장이 여전히 정치에 명확한 선을 긋지 않고 있다는 비판까지 제기된다.
윤 총장은 지난해부터 각종 여론조사에서 범야권 대선 후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지난 3일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윤 총장은 지지율 30.4%라는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여권에선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일 “저는 언론기관에 (대선 주자) 명단에 넣지 말아 달라고 했다. 윤 총장도 여론조사기관에 본인이 직접 (이름을 빼 달라고) 해야 할 것”이라며 윤 총장을 저격했다.
현직 검찰총장이 대선 후보로 오르내리는 것 자체가 검찰 수사의 정치적 중립을 훼손시킨다는 취지다.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가 지난해 윤 총장에게 정직 2개월의 징계를 내린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검찰은 윤 총장이 ‘정치행보’를 하고 있다는 시각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대검찰청이 최근들어 여론조사기관에 윤 총장의 이름을 빼 달라고 요청한 적은 없지만, 지난해 이미 수차례 이들 기관에 대선 후보 명단에서 제외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행보를 둘러싼 오해를 불식시키려 이미 노력을 기울였고, 또 명단 제외 요청을 한다고 여론조사기관에서 바로 이름을 빼 주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서울행정법원도 징계처분 집행정지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24일 “(여론조사 후보군에 포함된 것에 대해) 윤 총장에게 책임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윤 총장이 추후 정치판에 나설 의지가 없다면, 지금이라도 본인의 이름을 빼 달라고 재차 요청해 구설수를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러 논란을 의식한듯 윤 총장은 새해들어 신중모드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이 많다. 그는 올해 현충원 방명록에 지난해와 달리 ‘국민과 함께’라는 표현을 뺐다. 지난해 신년사에선 부정부패와 선거범죄 엄단 등의 표현을 써 “정권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온 것과 달리, 올해 신년사에선 형사사법시설 방역과 수사권 조정 대응, 피의자의 방어권 보장 등을 강조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윤 총장은 지난해부터 각종 여론조사에서 범야권 대선 후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지난 3일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윤 총장은 지지율 30.4%라는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여권에선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일 “저는 언론기관에 (대선 주자) 명단에 넣지 말아 달라고 했다. 윤 총장도 여론조사기관에 본인이 직접 (이름을 빼 달라고) 해야 할 것”이라며 윤 총장을 저격했다.
현직 검찰총장이 대선 후보로 오르내리는 것 자체가 검찰 수사의 정치적 중립을 훼손시킨다는 취지다.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가 지난해 윤 총장에게 정직 2개월의 징계를 내린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검찰은 윤 총장이 ‘정치행보’를 하고 있다는 시각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대검찰청이 최근들어 여론조사기관에 윤 총장의 이름을 빼 달라고 요청한 적은 없지만, 지난해 이미 수차례 이들 기관에 대선 후보 명단에서 제외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행보를 둘러싼 오해를 불식시키려 이미 노력을 기울였고, 또 명단 제외 요청을 한다고 여론조사기관에서 바로 이름을 빼 주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서울행정법원도 징계처분 집행정지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24일 “(여론조사 후보군에 포함된 것에 대해) 윤 총장에게 책임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윤 총장이 추후 정치판에 나설 의지가 없다면, 지금이라도 본인의 이름을 빼 달라고 재차 요청해 구설수를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러 논란을 의식한듯 윤 총장은 새해들어 신중모드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이 많다. 그는 올해 현충원 방명록에 지난해와 달리 ‘국민과 함께’라는 표현을 뺐다. 지난해 신년사에선 부정부패와 선거범죄 엄단 등의 표현을 써 “정권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온 것과 달리, 올해 신년사에선 형사사법시설 방역과 수사권 조정 대응, 피의자의 방어권 보장 등을 강조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