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묶인 돈 10兆로 백신 구입"…이란, 유조선 나포 '속셈' 드러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란 자금 인질로 잡은건 한국"
외교부, 실무대표단 오늘 밤 급파
외교부, 실무대표단 오늘 밤 급파
![이란 혁명수비대 함정들에 나포되는 유조선 '한국케미'/사진=AP](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ZA.24906572.1.jpg)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 이란대사가 5일 초치돼 외교부 청사에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4913071.1.jpg)
이란 정부는 한국케미호 나포 이유로 환경오염 문제를 제기했지만, 실제는 10조원가량의 이란산 원유 수출대금을 반환받기 위한 압박 차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 국내 은행에 개설된 이란 중앙은행의 원화계좌로 이란에 원유 수입 대금을 지급해왔지만 2010년부터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가 강화돼 현재 최대 90억달러(약 9조7000억원) 지급이 동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 라비에이 이란 정부 대변인은 이날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이란의 한국 선박 나포가 인질극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일축하며 “오히려 이란 자금을 아무런 이유 없이 인질로 잡고 있는 것은 한국”이라고 반박했다.
의약품을 비롯한 인도적 물품 거래는 제재에서 예외가 허용된다는 점을 이용해 양국은 해당 자금을 코로나19 백신 대금 지급에 쓰는 방안을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호세인 탄하이 이란·한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 3일 현지 매체에 “동결자금은 최우선으로 백신을 구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며 “양국이 동결자금을 사용하는 방안을 놓고 논의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실무조정회의를 열어 상시 대응체계를 가동하기로 결정했다. 아덴만 일대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청해부대 33진 최영함(4400t급)도 호르무즈 해협 인근으로 이동해 대기하고 있다. 외교가 일각에선 사태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2019년에도 “국제 해양법을 위반했다”며 영국 선박을 나포했다. 당시 선박 억류 해제까지는 65일이 걸렸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