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 대입 전략] 국·수·영·탐 난이도 매해 들쑥날쑥…골고루 학습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수능 국어 어렵고 '절대평가' 영어는 1등급 사상최대 12.7%
2021학년도 대학입시가 정시모집 원서 접수로 사실상 마무리되었다. 현재 고2인 ‘예비 고3’은 2021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풀어보면서 자신의 실력을 점검했을 것이다. 지난해 수능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올해의 학습방향을 잡아야 한다.
영어 절대평가 시행 이후 1등급 비율은 매해 요동쳤다. 2018학년도 절대평가 첫해 10.0%를 기록한 뒤 5.3%, 7.4%, 12.7% 등 매해 크게 변했다. 최저 5.3%에서 최고 12.7%까지 1등급 비율은 난이도에 따라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절대평가라고 쉽게 나온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이런 구조에서 영어 1등급 확보는 입시전략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영어가 쉬운 해였다면 1등급을 받지 못했을 때 타격은 엄청나고, 반대로 어려운 시험에서 1등급을 받는다면 대학 지원 수준이 달라지는 등 상당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2021학년도 대입을 예로 들면 영어 2등급 이하는 치명적이다. 연세대 인문계열에 지원한 영어 2등급 학생은 영어 1등급 학생과 격차를 만회하기 위해 국어 또는 수학에서 표준점수로 5.0점을 더 획득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영어 3등급 시 국어로 극복해야 하는 점수는 12.5점까지 늘어난다. 경희대 자연계열에 지원하는 경우라면, 영어 2등급 학생은 1등급과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어에서 표준점수 6.0점을 더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 3등급 시 국어로 극복해야 하는 점수는 16.5점까지 벌어진다. 이처럼 쉬운 영어 시험에서 영어 2등급 이하 학생이 주요대 경쟁에서 느껴야 하는 부담은 엄청나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영어는 반드시 1등급을 목표로 학습해야 한다. 또한 언제든 어렵게 출제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학습량과 학습방법을 다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로학원 분석 결과, 일부 상위권 대학에서는 올해 국어 성적이 좋았으면 수학이 3~4등급이어도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고려대 불어불문학과의 경우 국어 만점으로 표준점수 144점을 받은 학생은 수학이 3등급이어도 합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심지어 경희대 일부 학과는 국어 만점 시 수학 5등급도 합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점쳐진다.
하지만 2020학년도 대입에서는 문과 학생이 치르는 수학 나형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149점으로 가장 높아 수학의 변별력이 컸다. 이렇듯 매해 국어, 수학, 영어에서 어떤 과목이 어렵게 나올지 예측하기 힘들다. 결국, 어느 한 과목에 치우치지 말고 국·수·영 주요 과목을 모두 균형 있게 학습하는 것이 최선이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도 만만하게 볼 과목이 아니다. 이번 수능 사탐에서는 세계사,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등 5개 과목의 1등급 컷이 50점 만점으로 추정된다. 과탐은 물리Ⅰ, 물리Ⅱ 두 개 과목의 1등급 컷이 50점 만점으로 추정되고, 생명과학Ⅱ와 화학Ⅰ은 1등급 컷이 47점으로 예상된다. 두 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주저앉는다.
탐구는 국·수·영과 비교해 학습해야 하는 양이 적다 보니 나중에 공부하겠다는 학생이 많다. 이는 크게 잘못된 학습태도다. 탐구는 과목 간 난이도의 유불리 문제뿐 아니라 어떤 과목이든 한두 문제만 틀려도 2~3등급으로 주저앉는다. 국·수·영 성적이 우수해도 탐구가 결국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 탐구 또한 연간 학습계획을 미리 세우고 적절한 학습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능 문항별 정답률을 분석할 때는 남들도 어려워하는 문제를 주로 틀렸는지, 아니면 남들은 쉽게 맞히는 문제를 틀렸는지를 구분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남들도 어려워하는 정답률이 낮은 문제를 주로 틀렸다면 기본실력은 갖췄지만 고난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반면 정답률이 높은, 즉 남들은 쉽게 맞히는 문제를 주로 틀렸다면 학습방법 자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 학습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개념학습 자체가 부족하다고 봐야 한다. 당장 급한 마음에 어려운 문제에 매달려봐야 소용없다. 기본·예제 문제 중심으로 기초부터 다시 쌓는 것이 중요하다. 개념학습을 먼저 마무리한 뒤 응용문제 학습으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영어 난이도 매해 들쑥날쑥…쉽다고 예단하지 말고 확실한 1등급을 목표로 해야
2021학년도 수능의 영어 1등급 비율은 12.7%로 2018학년도 절대평가 시행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1등급 인원은 5만3053명에 달한다. 이 숫자면 2021학년도 주요 21개 대학의 정원 내 총 선발 규모인 5만5737명에 육박한다. 주요 21개 대학 내 경쟁에서 영어 변별력이 무색할 정도다. 2등급 비율은 16.5%, 인원은 6만9051명이다. 2등급 이내 인원은 총 12만2104명에 이르고, 이 인원이면 약 40개 대학의 모집인원과 맞먹는다. 그만큼 영어가 쉬웠다는 것이다.영어 절대평가 시행 이후 1등급 비율은 매해 요동쳤다. 2018학년도 절대평가 첫해 10.0%를 기록한 뒤 5.3%, 7.4%, 12.7% 등 매해 크게 변했다. 최저 5.3%에서 최고 12.7%까지 1등급 비율은 난이도에 따라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절대평가라고 쉽게 나온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이런 구조에서 영어 1등급 확보는 입시전략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영어가 쉬운 해였다면 1등급을 받지 못했을 때 타격은 엄청나고, 반대로 어려운 시험에서 1등급을 받는다면 대학 지원 수준이 달라지는 등 상당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2021학년도 대입을 예로 들면 영어 2등급 이하는 치명적이다. 연세대 인문계열에 지원한 영어 2등급 학생은 영어 1등급 학생과 격차를 만회하기 위해 국어 또는 수학에서 표준점수로 5.0점을 더 획득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영어 3등급 시 국어로 극복해야 하는 점수는 12.5점까지 늘어난다. 경희대 자연계열에 지원하는 경우라면, 영어 2등급 학생은 1등급과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어에서 표준점수 6.0점을 더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 3등급 시 국어로 극복해야 하는 점수는 16.5점까지 벌어진다. 이처럼 쉬운 영어 시험에서 영어 2등급 이하 학생이 주요대 경쟁에서 느껴야 하는 부담은 엄청나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영어는 반드시 1등급을 목표로 학습해야 한다. 또한 언제든 어렵게 출제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학습량과 학습방법을 다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대입은 사실상 한 과목이 좌우하지만 어떤 과목일지 예측 불가능…국·수·영·탐 고른 학습 중요
올해 정시 모집에서는 국어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에서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144점으로, 수학 가형과 나형의 137점보다 높게 형성됐다. 2019학년도 수능에선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이 150점으로 국어 영향력은 더 컸다. 주요 21개 대학 정시에서 국민대, 숙명여대, 단국대 등 3개 대학을 제외하고 모두 표준점수를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국어를 잘 본 학생이 주요대 경쟁에서 유리한 구조다.종로학원 분석 결과, 일부 상위권 대학에서는 올해 국어 성적이 좋았으면 수학이 3~4등급이어도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고려대 불어불문학과의 경우 국어 만점으로 표준점수 144점을 받은 학생은 수학이 3등급이어도 합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심지어 경희대 일부 학과는 국어 만점 시 수학 5등급도 합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점쳐진다.
하지만 2020학년도 대입에서는 문과 학생이 치르는 수학 나형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149점으로 가장 높아 수학의 변별력이 컸다. 이렇듯 매해 국어, 수학, 영어에서 어떤 과목이 어렵게 나올지 예측하기 힘들다. 결국, 어느 한 과목에 치우치지 말고 국·수·영 주요 과목을 모두 균형 있게 학습하는 것이 최선이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도 만만하게 볼 과목이 아니다. 이번 수능 사탐에서는 세계사,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등 5개 과목의 1등급 컷이 50점 만점으로 추정된다. 과탐은 물리Ⅰ, 물리Ⅱ 두 개 과목의 1등급 컷이 50점 만점으로 추정되고, 생명과학Ⅱ와 화학Ⅰ은 1등급 컷이 47점으로 예상된다. 두 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주저앉는다.
탐구는 국·수·영과 비교해 학습해야 하는 양이 적다 보니 나중에 공부하겠다는 학생이 많다. 이는 크게 잘못된 학습태도다. 탐구는 과목 간 난이도의 유불리 문제뿐 아니라 어떤 과목이든 한두 문제만 틀려도 2~3등급으로 주저앉는다. 국·수·영 성적이 우수해도 탐구가 결국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 탐구 또한 연간 학습계획을 미리 세우고 적절한 학습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능 문항별 정답률 통해 본인 취약점 찾고 학습전략 세워야
연간 학습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번 수능 문항별 정답률 분석은 좋은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문항별 정답률과 자신의 정오답 여부를 비교해보면 학습수준과 실력을 가늠하기에 좋다. 문항별 정답률은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통계는 없다. 현재로서는 EBS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신뢰도가 가장 높다. EBS 홈페이지에 입력된 표본들의 통계를 통해 정답률을 추산하는 방식이다. 표본수가 많아질수록 정확도가 올라가는 구조다.수능 문항별 정답률을 분석할 때는 남들도 어려워하는 문제를 주로 틀렸는지, 아니면 남들은 쉽게 맞히는 문제를 틀렸는지를 구분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남들도 어려워하는 정답률이 낮은 문제를 주로 틀렸다면 기본실력은 갖췄지만 고난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반면 정답률이 높은, 즉 남들은 쉽게 맞히는 문제를 주로 틀렸다면 학습방법 자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 학습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개념학습 자체가 부족하다고 봐야 한다. 당장 급한 마음에 어려운 문제에 매달려봐야 소용없다. 기본·예제 문제 중심으로 기초부터 다시 쌓는 것이 중요하다. 개념학습을 먼저 마무리한 뒤 응용문제 학습으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