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다언급 文, 올해 신년사서 처음 등장한 키워드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대통령 신년사 분석
부동산 정책 관련 '송구' 표현 첫 등장
'경제' 29번으로 가장 많아…올해 경제회복 방점
부동산 정책 관련 '송구' 표현 첫 등장
'경제' 29번으로 가장 많아…올해 경제회복 방점
문재인 대통령(사진)의 올해 신년사에선 '경제'라는 키워드가 지난해보다 2배나 더 많이 등장했다. 경제 회복을 최우선에 두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메시지로 읽힌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정 지지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데 따라 이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올해는 '미니 대선'이라고 불리는 재보궐 선거, 내년에는 대선을 앞둔 시점이어서 정부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11일 한경닷컴 뉴스랩이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를 분석한 결과 '경제'(29번) 키워드가 지난 4년간 신년사 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작년 신년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평화', '경제', '수출'(각 17번)에 비해 2배 가까이 자주 언급된 것이다.
경제에 이어 '코로나'가 16번, '안전'과 '회복'이 각각 15번 언급돼 뒤를 이었다. 방역, 사회안전망 구축, 경기 회복 등 맥락에서 이 같은 단어들이 언급됐다.
'협력'과 '세계'는 각각 14번 등장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K-방역'과 G7 등극 전망 등을 언급하며 한국이 방역과 경제에 있어 세계 주요 국가 중 성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남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키워드도 등장했다. 대북 관계와 관련된 키워드딪 '평화'(6번)와 '남북'(7번)은 지난해보다 줄어든 대신 '협력'(14번)이 늘었다. 특히 이중 남북 관계와 관련된 맥락에서 쓰인 횟수는 총 7번으로 지난해 신년사보다 2번 더 많다. 코로나19 국면에서도 대북 관계를 더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밖에 '위기', '고용', '뉴딜'은 각각 11번 등장했다. '고용'의 경우 지난해보다 4번 더 많이 등장하면서 코로나19 고용 불안을 직시했다.
이번 신년사에선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사과 표현이 등장했다. 그는 이날 "주거 문제의 어려움으로 낙심이 큰 국민들께는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4년째인 올해 처음으로 '송구'라는 표현을 신년사에서 사용했다. 또한 지난해 1번 등장에 그쳤던 '공급' 키워드도 2번 등장하면서 수요 억제 위주의 부동산 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제기됐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정 지지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데 따라 이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올해는 '미니 대선'이라고 불리는 재보궐 선거, 내년에는 대선을 앞둔 시점이어서 정부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11일 한경닷컴 뉴스랩이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를 분석한 결과 '경제'(29번) 키워드가 지난 4년간 신년사 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작년 신년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평화', '경제', '수출'(각 17번)에 비해 2배 가까이 자주 언급된 것이다.
'협력'과 '세계'는 각각 14번 등장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K-방역'과 G7 등극 전망 등을 언급하며 한국이 방역과 경제에 있어 세계 주요 국가 중 성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남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키워드도 등장했다. 대북 관계와 관련된 키워드딪 '평화'(6번)와 '남북'(7번)은 지난해보다 줄어든 대신 '협력'(14번)이 늘었다. 특히 이중 남북 관계와 관련된 맥락에서 쓰인 횟수는 총 7번으로 지난해 신년사보다 2번 더 많다. 코로나19 국면에서도 대북 관계를 더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밖에 '위기', '고용', '뉴딜'은 각각 11번 등장했다. '고용'의 경우 지난해보다 4번 더 많이 등장하면서 코로나19 고용 불안을 직시했다.
이번 신년사에선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사과 표현이 등장했다. 그는 이날 "주거 문제의 어려움으로 낙심이 큰 국민들께는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4년째인 올해 처음으로 '송구'라는 표현을 신년사에서 사용했다. 또한 지난해 1번 등장에 그쳤던 '공급' 키워드도 2번 등장하면서 수요 억제 위주의 부동산 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제기됐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