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울타리 바깥인 강원 영월서도 ASF 발생…멧돼지 확산 막고 농가유입 차단 총력
김현수 장관 "돼지고기·닭고기·달걀 오름세…모니터링하면서 필요 시 대책 강구"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941건 발생…개체수 절반수준 저감
야생멧돼지의 아프라카돼지열병(ASF) 감염 사례가 점점 확산함에 따라 가축방역당국이 방역 조치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14일 현재까지 12개 시·군에서 야생멧돼지 ASF 감염이 모두 941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울타리 설치, 수색·포획, 집중 소독 등을 통해 확산을 막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최근 광역울타리에서 62㎞ 떨어진 강원도 영월에서도 야생멧돼지 ASF가 8건 나오는 등 발생 지역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광역울타리 남쪽인 영월, 양양에서 야생멧돼지 ASF가 발생함에 따라 전국적으로 질병이 확산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대다수의 양돈농장이 야산 인근에 있어 농장 내로 바이러스가 들어오기 쉽고 아직 농장의 방역 여건이 취약한 데다 봄철 번식기가 되면 야생멧돼지 개체 수가 크게 증가할 우려도 있다.

이에 따라 중수본은 야생멧돼지의 확산을 막고 양돈농장을 차단방역하기 위한 방역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야생멧돼지의 확산을 막기 위해 울타리 설치·보강, 멧돼지 개체 수의 획기적 저감, 폐사체 수색·제거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한다.

김현수 중수본부장 겸 농식품부 장관은 "현재 전국의 멧돼지 서식 밀도는 ㎢ 당 4.1마리 수준"이라며 "이를 순환감염을 막을 수 있는 수준, ㎢ 당 2마리까지 저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양성개체 발생지역과 양돈농장 주변은 물론, 포획·수색에 참여하는 인력·장비 등도 철저하게 소독한다.

멧돼지 ASF 발생지역과 인근 도로·농장 진입로는 방역차·광역방제기·군 제독차 등 소독차량 196대를 동원하여 매일 소독을 시행할 방침이다.

농장 내 축산차량의 출입을 최소화하고 소독·방역 시설을 보완하면서 축사 출입 시 손 씻기·장화 갈아신기와 같은 농장방역 기본수칙을 꼼꼼하게 준수하도록 하는 등 농장 차단방역을 강화한다.

아울러 다음 달 말까지 농장 시설을 보완하고 오는 6월 말까지 중점방역관리지구에 적용되는 강화된 8대 방역 시설을 설치한다.

지난해 10월 이후 추가 발생이 없는 사육돼지의 ASF 재발병을 더욱 확실하게 막기 위해 전국을 16개로 권역화해 돼지·분뇨 등의 권역 간 이동을 제한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야생멧돼지의 ASF가 계속 확산해 양돈농장으로의 오염원 유입이 우려되는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전국 양돈농장은 소독·방역 시설을 신속하게 개선하고 축사를 출입할 때는 장화 갈아신기·손 소독 등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최근 돼지고기는 물론 닭고기, 달걀 등의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선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따라서 가정용 수요가 늘고 있어서 가격이 평년 대비 약간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닭고기는 "공급 여력이 평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그런데도 현재 가격이 약간 상승하는 추세여서 앞으로 유통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유통 과정상에 어떤 애로가 있는지 점검해서 그 문제를 해소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한판(특란 30개) 가격이 6천원을 돌파한 달걀은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해 살처분이 늘고 코로나19로 가정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이 됐다고 봤다.

김 장관은 "가격을 조금 더 모니터링하면서 문제가 있다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