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오른 LG화학·현대차 대신 우선株 담아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피 고공행진…대형주 투자법
보통주-우선주 괴리율 좁혀져
삼성전자우 주가, 90% 육박
"LG화학·현대차 등 40%대 수준
향후 70~80%까지 접근할 것"
보통주-우선주 괴리율 좁혀져
삼성전자우 주가, 90% 육박
"LG화학·현대차 등 40%대 수준
향후 70~80%까지 접근할 것"
!["많이 오른 LG화학·현대차 대신 우선株 담아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10482.1.jpg)
우선주 상승률 더 높아
!["많이 오른 LG화학·현대차 대신 우선株 담아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5007598.1.jpg)
삼성전자는 보합으로 마감한 반면 우선주는 0.25% 상승했다. 현대차는 보통주가 3.28% 떨어졌지만 우선주(현대차우)는 0.83% 하락하는 데 그쳤다. LG화학, 삼성전기, 아모레퍼시픽도 우선주 성과가 더 좋았다. 대부분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가 큰 종목들이다.
“저평가 해소 기대”
자산운용사들은 우선주가 역사적 저평가 국면에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배당주펀드와 가치주펀드 환매가 가속화되면서 우선주에서 자금이 빠져나간 영향이다.보통주가 우선주보다 높은 것은 경영권 프리미엄과 거래량 때문이다. 경영권에 통상적으로 20%의 프리미엄이 부과됐다. 거래량이 적은 우선주에는 ‘디스카운트’가 적용됐다. 최근 유동성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거래량에 따른 할인율이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개인 투자자가 주주총회에 가서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는 드물다”며 “배당도 더 주고 주가 상승폭도 큰 우선주가 투자에 더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차 우선주 주목
우선주가 주목받는 근본적인 이유는 주주 친화 전략 때문이다. 기업이 주주들에게 친화적일수록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 기업들은 주주 중심 경영을 확대하고 있다. 주주 친화적 기업으로 알려진 삼성전자와 유한양행이 대표적이다.운용사들은 현대차 우선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현대차가 적극적인 주주 친화 전략을 약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준철 VIP자산운용 대표는 “현대차가 주주 가치를 제고하는 상황에서 지금처럼 차이가 벌어질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날 종가 기준 보통주 대비 현대차우의 비율은 48% 수준이다. 현대차2우B와 현대차3우B는 이 수치가 각각 43%, 42%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현대차 우선주가 보통주 대비 70~80%까지는 올라가야 적정 가치를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종목은 주도주로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주에 투자할 경우 보통주와의 차이를 좁히면서 ‘꿩 먹고 알 먹기 식’ 투자를 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단기에 급등한 보통주 대신 우선주에 투자하는 게 안정성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는 의견도 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