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현대자동차와 애플이 전기차 생산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1주일이 지났지만 추가적인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기밀 유지를 극단적으로 강조하는 애플 특유의 원칙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 CNBC는 "애플과 사업을 하는 기업은 아무에게도 그 사실을 알려서는 안된다"며 14일(현지시간) 이 같이 보도했다. CNBC는 현대차와 애플의 전기차 생산 논의를 예로 들었다. 협력설 보도 이후 현대차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당사는 다수의 기업으로부터 자율주행 전기차 관련 공동개발 협력요청을 받고 있으나, 초기단계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발표했다.

CNBC는 이 설명에 '애플'이라는 사명이 빠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협력사에 비밀유지를 강조하는 애플의 기조가 반영된 결과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애플과 사업을 하는 기업들은 보통 엄격한 비공개 협정을 준수한다는 설명이다. 공기업, 애플의 주요 고객사도 예외는 없다고 한다.

비공개 협정은 테크기업 사이에서 흔한 일이지만, 애플은 더 심각하게 비밀유지를 요구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애플의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에 따르면 파트너사는 언론 혹은 공개적으로 애플을 언급해서는 안된다고 CNBC는 전했다. 애플과의 협업 경험이 있는 한 업계 관계자는 비밀유지 요구에 대해 "애플과 일하려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라고 표현했다.

CNBC는 애플에 사파이어 글래스를 공급했던 GT어드밴스의 사례를 꼽았다. 이 회사는 과도한 부채로 인해 2014년 10월 파산했는데, 그 과정에서 애플과 맺은 비밀유지 계약 내용이 공개된 것이다. GT어드밴스가 비밀유지 협약을 어기면 건당 5000만 달러를 애플에 지급한다는 조항이 담겨 있었다.

아이폰용 강화 유리 공급사인 코닝도 대표 사례로 언급된다. 올해 초 웬델 위크스 코닝 최고경영자(CEO)는 아이폰12 출시 행사가 열리기 전까지는 코닝의 새로운 강화유리에 대해 언급하기 불편하다고 털어놓았다. 지난 10월에는 "애플의 이름을 크게 말하는 게 부담스럽다"며 "회사에서는 아무도 애플을 애플이라고 부르지 않고 별도의 코드명으로 지칭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애플의 비밀주의는 잘 알려져있다. 애플을 '과일회사'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애플이 강한 비밀주의 정책을 고집하는 것은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의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잡스는 신제품을 발표할 때마다 늘 소비자들을 놀라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늘날에도 애플은 '놀라움과 즐거움'에 중점을 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때문에 애플은 아직 출시하지 않은 제품에 대한 세부 사항을 가장 큰 자산 중 하나로 여긴다. 애플은 직원들에게 사업 정보를 공급 업체에 공개할 때 매우 선별적이어야 한다고 교육한다. 반드시 비공개 합의가 이뤄진 뒤에 공개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