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 신년회견에서 국민이 꼭 듣고 싶은 것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화자찬 대신 냉철한 현실인식·반성 절실
편가르기 아닌 통합·미래지향 메시지여야
편가르기 아닌 통합·미래지향 메시지여야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년 기자회견을 한다. 두 전직 대통령 사면, 코로나 방역에 따른 경제 피해, 검찰 등 권력기관 개편, 남북한 관계, 집값 불안 등이 뜨거운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직 대통령 사면과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사과했던 부동산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밝힐지가 가장 큰 관심사다.
한편에서는 이 같은 개별 문제와 별개로 이번 회견이 집권 5년차를 맞는 대통령이 국정의 큰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있는 만큼 여론을 대폭 수용해 여권 전체가 심기일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어떤 이슈에서든 반성과 성찰보다는 듣기 좋은 미사여구를 동원한 자화자찬 위주였던 대통령의 언어가 이제는 바뀌기를 적잖은 국민이 바란다는 것부터 깨달아야 한다. 문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방역과 경제의 동반 성공으로 세계의 모범”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가 끝나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는 등의 발언을 했다.
물론 국가적 자긍심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 하지만 잘못된 정책을 덮고 현실을 외면하는 수단이 돼서는 곤란하다. 국민은 어떤 문제든, 대통령이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현실을 인식하고 솔직하게 국민의 협조를 구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
‘갈라치기 아닌 국민 화합’ 역시 대다수 국민이 대통령에게 기대하는 메시지다. 문 대통령은 2017년 취임사에서 “분열과 갈등 정치를 바꿔 국민통합을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그후 현실은 정반대였다. 기업과 노동자, 부자와 서민, 다주택자와 무주택자, 정규직과 비정규직 등으로 편가르기가 횡행했고 그 한가운데에 대통령과 여당이 있었다.
‘쇼통’ 아닌 국민과의 진정한 ‘소통’도 대통령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과제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권위적 대통령 문화를 청산하고 제왕적 권력을 최대한 나누며 대화하고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4년이 흐른 지금 “그 어떤 정부보다 권위적이며 불통 정권”이란 평가가 훨씬 많다.
‘과거’ 아닌 ‘미래’에 초점을 맞춘 메시지도 절실하다. 다음 대선까지는 1년여 남았다. 책임 있는 정부라면 정책 하나라도 차기 정부에서 어떻게 지속할 것인지, 어떻게 바통터치를 할지 등에 대해 큰 그림을 제시해야 한다. 지금까지처럼 ‘생색은 지금, 부담은 다음 정부’ 식이면 무책임한 정권으로 기억될 것이다.
국민은 문 대통령이 과거 취임사에서 밝혔던 초심으로 돌아가기를, 그리고 이를 신년 회견에서 천명해주기를 고대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번 기자회견을 앞두고 리허설만 네 차례 했다고 한다. 이번만큼은 ‘보여주기’가 아닌,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두고 고민이 깊었던 리허설이었기를 바란다.
한편에서는 이 같은 개별 문제와 별개로 이번 회견이 집권 5년차를 맞는 대통령이 국정의 큰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있는 만큼 여론을 대폭 수용해 여권 전체가 심기일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어떤 이슈에서든 반성과 성찰보다는 듣기 좋은 미사여구를 동원한 자화자찬 위주였던 대통령의 언어가 이제는 바뀌기를 적잖은 국민이 바란다는 것부터 깨달아야 한다. 문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방역과 경제의 동반 성공으로 세계의 모범”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가 끝나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는 등의 발언을 했다.
물론 국가적 자긍심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 하지만 잘못된 정책을 덮고 현실을 외면하는 수단이 돼서는 곤란하다. 국민은 어떤 문제든, 대통령이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현실을 인식하고 솔직하게 국민의 협조를 구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
‘갈라치기 아닌 국민 화합’ 역시 대다수 국민이 대통령에게 기대하는 메시지다. 문 대통령은 2017년 취임사에서 “분열과 갈등 정치를 바꿔 국민통합을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그후 현실은 정반대였다. 기업과 노동자, 부자와 서민, 다주택자와 무주택자, 정규직과 비정규직 등으로 편가르기가 횡행했고 그 한가운데에 대통령과 여당이 있었다.
‘쇼통’ 아닌 국민과의 진정한 ‘소통’도 대통령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과제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권위적 대통령 문화를 청산하고 제왕적 권력을 최대한 나누며 대화하고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4년이 흐른 지금 “그 어떤 정부보다 권위적이며 불통 정권”이란 평가가 훨씬 많다.
‘과거’ 아닌 ‘미래’에 초점을 맞춘 메시지도 절실하다. 다음 대선까지는 1년여 남았다. 책임 있는 정부라면 정책 하나라도 차기 정부에서 어떻게 지속할 것인지, 어떻게 바통터치를 할지 등에 대해 큰 그림을 제시해야 한다. 지금까지처럼 ‘생색은 지금, 부담은 다음 정부’ 식이면 무책임한 정권으로 기억될 것이다.
국민은 문 대통령이 과거 취임사에서 밝혔던 초심으로 돌아가기를, 그리고 이를 신년 회견에서 천명해주기를 고대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번 기자회견을 앞두고 리허설만 네 차례 했다고 한다. 이번만큼은 ‘보여주기’가 아닌,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두고 고민이 깊었던 리허설이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