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소득 4310만원인데…농사로 번 돈은 고작 1200만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농가소득이 작년 3%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직불금 등 각종 보조금 지급이 급증한 결과다. 하지만 전체 가구의 평균 연소득에 비해서는 1000만원 이상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개최한 '농업전망 2021'에 따르면 작년 농가소득은 4310만원으로 추정됐다. 2019년에 비해 4.7% 증가했다. 하지만 농가의 소득은 전체 평균에 비해선 낮은 수준이다.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2019년 국내 가구의 연평균 소득이 5924만원으로 조사된 것을 감안하면 1600만원 가량 적다.
농가소득이 증가한 것은 공익직불금과 재난지원금 등 정부 보조금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작년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1175만원이었다. 전년 대비로는 14.5% 증가했지만 총 농가소득의 27%에 그쳤다. 농업 외 사업 등을 통해 벌어들인 농외소득은 1596만원으로 전년 대비 7.9% 줄었다. 농촌관광 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된 탓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보조금 등 이전소득은 1319만원으로 17.5% 증가했다. 재난지원금, 공익직불금, 농민수당 등이 빠르게 확산한 여파다.
올해 농가소득은 4373만원으로 1.5%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재난지원금 등 감소로 이전소득은 줄어들지만 농외소득 등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농가소득 5000만원은 2029년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농업 생산액은 작년 51조5000억원 규모로 추정됐다. 2019년 대비 3.7% 증가했다. 경지면적은 줄었지만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생산액 증대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생산액은 1.9% 더 증가해 52조503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농가인구 감소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농가인구는 전년 대비 1.8% 감소해 216만2000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65세 이상 농가 인구 비중이 49.2%로 증가하는 등 고령화 현상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농가 수는 1.0% 감소하는 데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농가 단위로 지급하는 농민수당과 소농 직불금 등을 받기 위해 농가 쪼개기 등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유로 거론된다.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가 이어져 전년 대비 2.5% 증가한 148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귀농귀촌 정책 등의 영향이다.
소비자들의 식품소비행태도 점진적으로 변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장기적으로 육류와 수입과일 소비가 증가하고 곡물‧채소는 감소할 것이란 예상이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2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개최한 '농업전망 2021'에 따르면 작년 농가소득은 4310만원으로 추정됐다. 2019년에 비해 4.7% 증가했다. 하지만 농가의 소득은 전체 평균에 비해선 낮은 수준이다.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2019년 국내 가구의 연평균 소득이 5924만원으로 조사된 것을 감안하면 1600만원 가량 적다.
농가소득이 증가한 것은 공익직불금과 재난지원금 등 정부 보조금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작년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1175만원이었다. 전년 대비로는 14.5% 증가했지만 총 농가소득의 27%에 그쳤다. 농업 외 사업 등을 통해 벌어들인 농외소득은 1596만원으로 전년 대비 7.9% 줄었다. 농촌관광 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된 탓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보조금 등 이전소득은 1319만원으로 17.5% 증가했다. 재난지원금, 공익직불금, 농민수당 등이 빠르게 확산한 여파다.
올해 농가소득은 4373만원으로 1.5%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재난지원금 등 감소로 이전소득은 줄어들지만 농외소득 등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농가소득 5000만원은 2029년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농업 생산액은 작년 51조5000억원 규모로 추정됐다. 2019년 대비 3.7% 증가했다. 경지면적은 줄었지만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생산액 증대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생산액은 1.9% 더 증가해 52조503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농가인구 감소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농가인구는 전년 대비 1.8% 감소해 216만2000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65세 이상 농가 인구 비중이 49.2%로 증가하는 등 고령화 현상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농가 수는 1.0% 감소하는 데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농가 단위로 지급하는 농민수당과 소농 직불금 등을 받기 위해 농가 쪼개기 등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유로 거론된다.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가 이어져 전년 대비 2.5% 증가한 148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귀농귀촌 정책 등의 영향이다.
소비자들의 식품소비행태도 점진적으로 변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장기적으로 육류와 수입과일 소비가 증가하고 곡물‧채소는 감소할 것이란 예상이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