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년 떠돈 국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귀향 준비 마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년간 보존처리작업 완료…복원과정·연구성과 보고서 발간
고려시대 승탑(僧塔)의 백미로 꼽히는 국보 제101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이 보존처리 작업을 끝마치고 고향인 강원도 원주로 돌아갈 준비를 마쳤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2016년부터 5년여에 걸친 지광국사탑 보존처리를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에 세워졌던 고려 시대 국사(國師) 해린(海麟, 984∼1070)의 승탑으로, 독특한 구조와 화려한 조각, 뛰어난 장엄장식으로 역대 가장 개성적이고 화려한 승탑으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일본인에 의해 원주에서 서울로 옮겨졌다가 이듬해 일본 오사카로 반출되는 등 10여 차례 각지를 전전했고, 한국전쟁 중에는 폭격을 받아 파손되기도 했다.
지광국사탑은 그간 두 차례 정기조사와 특별 종합점검, 정밀안전진단에서 다수 균열과 모르타르 복원 부위 손상이 확인됐다.
더구나 옥개석(지붕돌)과 상륜부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해 추가 훼손 우려까지 제기돼 2015년 전면 해체·보존처리가 결정됐다.
이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이듬해부터 석탑을 완전 해체하고 보존처리를 진행해왔다.
이 과정에서 해체 부재들을 기록하고, 모르타르는 걷어냈으며, 결실된 부재는 새로운 석재로 제작하고, 파손 부재들은 접착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새로 구해야 하는 신석재의 경우 전국의 주요 석재 산지를 조사해 지광국사탑이 있던 원주에서 채석했는데, 탑이 조성될 당시 사용된 석재와 가장 유사한 재질로 구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유리건판, 실측도면 등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해 결실 부분의 형상을 복원했고, 전통 기술과 도구로 가공하고 접합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전체 29개 부재 중 19개에 대해 부분적으로 신석재를 사용했으며, 옥개석(지붕돌)과 앙화(꽃이 위를 쳐다보는 모양의 조각), 보륜(탑 상륜부 원형 모양의 부재) 등의 부재는 절반 정도를 신석재로 복원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탑신석 사리공(사리를 넣는 구멍)에서 발견된 옥개석 파손 부재 조각과 법천사지에서 발굴된 하층 기단 갑석(돌 위에 포개어 얹는 넓적한 돌) 조각을 원래 위치에 복원했으며, 1957년 수리 때 잘못 복원된 옥개석의 방위와 추녀 위치를 바로잡는 등 지광국사탑의 본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이날 최근 연구 결과를 담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복원Ⅲ' 보고서를 발간해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nrich.go.kr)에 공개했다.
보고서에는 2018∼2019년 사업내용과 연구, 신석재를 찾아 탑에 끼워 넣는 과정, 장엄 조각과 문양에 대한 연구, 파손 부위 구조보강 과정 등이 담겨 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지광국사탑 관련 정보와 보존처리 내용을 웹툰으로 제작해 22일부터 온라인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다만, 지광국사탑 이전 복원 장소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법천사지 내 원위치에 놓는 방안, 이 자리에 보호각을 세워 복원하는 방안, 사지 내 건립 중인 전시관으로 이전하는 방안 등이 맞서고 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이에 대해 "문화재청과 원주시가 긴밀히 협의해 문화재가 잘 보존될 방안을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2016년부터 5년여에 걸친 지광국사탑 보존처리를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에 세워졌던 고려 시대 국사(國師) 해린(海麟, 984∼1070)의 승탑으로, 독특한 구조와 화려한 조각, 뛰어난 장엄장식으로 역대 가장 개성적이고 화려한 승탑으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일본인에 의해 원주에서 서울로 옮겨졌다가 이듬해 일본 오사카로 반출되는 등 10여 차례 각지를 전전했고, 한국전쟁 중에는 폭격을 받아 파손되기도 했다.
지광국사탑은 그간 두 차례 정기조사와 특별 종합점검, 정밀안전진단에서 다수 균열과 모르타르 복원 부위 손상이 확인됐다.
더구나 옥개석(지붕돌)과 상륜부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해 추가 훼손 우려까지 제기돼 2015년 전면 해체·보존처리가 결정됐다.
이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이듬해부터 석탑을 완전 해체하고 보존처리를 진행해왔다.
이 과정에서 해체 부재들을 기록하고, 모르타르는 걷어냈으며, 결실된 부재는 새로운 석재로 제작하고, 파손 부재들은 접착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새로 구해야 하는 신석재의 경우 전국의 주요 석재 산지를 조사해 지광국사탑이 있던 원주에서 채석했는데, 탑이 조성될 당시 사용된 석재와 가장 유사한 재질로 구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유리건판, 실측도면 등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해 결실 부분의 형상을 복원했고, 전통 기술과 도구로 가공하고 접합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전체 29개 부재 중 19개에 대해 부분적으로 신석재를 사용했으며, 옥개석(지붕돌)과 앙화(꽃이 위를 쳐다보는 모양의 조각), 보륜(탑 상륜부 원형 모양의 부재) 등의 부재는 절반 정도를 신석재로 복원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탑신석 사리공(사리를 넣는 구멍)에서 발견된 옥개석 파손 부재 조각과 법천사지에서 발굴된 하층 기단 갑석(돌 위에 포개어 얹는 넓적한 돌) 조각을 원래 위치에 복원했으며, 1957년 수리 때 잘못 복원된 옥개석의 방위와 추녀 위치를 바로잡는 등 지광국사탑의 본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이날 최근 연구 결과를 담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복원Ⅲ' 보고서를 발간해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nrich.go.kr)에 공개했다.
보고서에는 2018∼2019년 사업내용과 연구, 신석재를 찾아 탑에 끼워 넣는 과정, 장엄 조각과 문양에 대한 연구, 파손 부위 구조보강 과정 등이 담겨 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지광국사탑 관련 정보와 보존처리 내용을 웹툰으로 제작해 22일부터 온라인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다만, 지광국사탑 이전 복원 장소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법천사지 내 원위치에 놓는 방안, 이 자리에 보호각을 세워 복원하는 방안, 사지 내 건립 중인 전시관으로 이전하는 방안 등이 맞서고 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이에 대해 "문화재청과 원주시가 긴밀히 협의해 문화재가 잘 보존될 방안을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