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6시까지 전국서 323명 신규확진…어제보다 3명 적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 117명-서울 108명-인천 23명 등 수도권 248명, 비수도권 75명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20일에도 전국 곳곳에서 확진자가 잇따랐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323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에 집계된 326명보다 3명 적다.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248명(76.8%), 비수도권이 75명(23.2%)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117명, 서울 108명, 인천 23명, 경남 14명, 부산 13명, 경북 8명, 대구·강원·충남 각 7명, 충북 5명, 제주 4명, 울산·광주·전남 각 3명, 전북 1명이다.
17개 시도 가운데 대전과 세종에서는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아직 시간이 남은 만큼 21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확진자 발생 흐름을 보면 300명대 후반에서 많으면 400명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날에는 오후 6시 이후 자정까지 78명 늘어 총 40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하루에 확진자가 1천명 넘게 나오던 '3차 대유행'의 기세는 새해 들어 한풀 꺾인 양상이다.
이달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1천27명→820명→657명→1천20명→714명→838명→869명→674명→641명→657명→451명→537명→561명→524명→512명→580명→520명→389명→386명→404명을 기록했다.
최근 1주일(1.14∼20)만 보면 신규 확진자가 하루 평균 474명꼴로 발생한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결정의 주요 지표가 되는 지역발생 확진자 수는 일평균 445명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개신교 선교단체 '인터콥'이 운영하는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 관련 확진자가 787명까지 불어났고, 경기 양주시 육류가공업체 관련 감염자는 104명으로 늘었다.
이 밖에도 서울 동대문구 사우나와 관련해 누적 28명, 세종시 음악학원 사례에서 총 11명이 양성 판정을 받는 등 일상 공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323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에 집계된 326명보다 3명 적다.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248명(76.8%), 비수도권이 75명(23.2%)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117명, 서울 108명, 인천 23명, 경남 14명, 부산 13명, 경북 8명, 대구·강원·충남 각 7명, 충북 5명, 제주 4명, 울산·광주·전남 각 3명, 전북 1명이다.
17개 시도 가운데 대전과 세종에서는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아직 시간이 남은 만큼 21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확진자 발생 흐름을 보면 300명대 후반에서 많으면 400명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날에는 오후 6시 이후 자정까지 78명 늘어 총 40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하루에 확진자가 1천명 넘게 나오던 '3차 대유행'의 기세는 새해 들어 한풀 꺾인 양상이다.
이달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1천27명→820명→657명→1천20명→714명→838명→869명→674명→641명→657명→451명→537명→561명→524명→512명→580명→520명→389명→386명→404명을 기록했다.
최근 1주일(1.14∼20)만 보면 신규 확진자가 하루 평균 474명꼴로 발생한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결정의 주요 지표가 되는 지역발생 확진자 수는 일평균 445명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개신교 선교단체 '인터콥'이 운영하는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 관련 확진자가 787명까지 불어났고, 경기 양주시 육류가공업체 관련 감염자는 104명으로 늘었다.
이 밖에도 서울 동대문구 사우나와 관련해 누적 28명, 세종시 음악학원 사례에서 총 11명이 양성 판정을 받는 등 일상 공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