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끝나지 않았다"…3월 '개각설'에 술렁이는 경제 부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재부·산업부·고용부 수장 바뀌나
다음 개각 놓고 하마평 무성
다음 개각 놓고 하마평 무성
지난 20일 개각으로 외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장관 인사가 이뤄졌다. 수장 교체가 점쳐졌던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등 경제 부처는 개각 대상에서 일단 제외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내년 5월까지 1년 4개월 정도 남은만큼 해당 부처는 장관 교체 없이 정권 후반기를 보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조만간 개각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만만치 않다.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차기 대선 레이스를 맞아 안정적으로 국정을 관리하기 위한 개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미 청와대측은 개각이 있었던 20일 기자들에게 “집권 후반기 마무리와 성과 창출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개각을) 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3월께에는 경제 부처를 중심으로 추가 개각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세균 총리가 대선 출마를 위해 총리직을 내려놓을 시점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총리 교체와 함께 여러 부처의 개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 후임 장관들의 임기를 1년 이상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일단 개각이 되면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로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가장 빈번하게 거론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수출입은행장과 금융위원장을 연이어 맡으며 높은 신임을 얻고 있다는 점이 이유다.
차기 청와대 정책실장 내정설이 돌았던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도 유력한 후보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과 김용범 기재부 1차관 등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 문 대통령 측근이나 유력 정치인이 기재부 장관을 맡는 파격적인 인사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문화·체육계와 별다른 인연이 없는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화부 장관에 내정되면서 힘이 실리는 전망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후임으로는 주로 정치인들이 많이 거론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해온 조정식 의원과 우원식 의원 등이다. 지난 산업부 장관 교체 당시에도 하마평에 올랐던 인사들이다.
산업부 출신으로는 정승일 전 차관이 거론된다. 산업부 산하 기관및 공기업 사장이 장관으로 임명될 가능성도 있지만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 폐쇄 관련 수사로 상처를 입은 인사가 많아 후보군이 줄었다.
김용범 차관과 구윤철 실장은 산업부 장관 후보로도 거론된다. 다만 이번 정부 들어 기재부 출신이 다른 부처 장관을 맡는 사례가 크게 줄어 가능성은 높지 않다.
고용노동부 개각은 그야말로 '오리무중'이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이 3년차를 맞은 지난해 9월만 해도 개각 대상으로 거론되며 후임 장관으로 황덕순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유력하다는 설이 파다했으나 황 전 수석은 이달 임기가 만료된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장 후임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수석과 함께 유력하게 거론됐던 한정애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말 환경부 장관에 내정되면서 이미 떠난 '카드'다. 차기 고용부 장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됐던 두 사람의 행선지가 정해진 이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의 김경협 의원(민주당)의 입각설도 한때 나돌았으나, 김 의원도 지난 8일 국회 정보위원장에 선출되면서 가능성이 크게 떨어졌다.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 박주민 의원(민주당)의 전격 발탁설도 돌지만 노사관계 전문가들은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위한 노동관계법 개정,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제 시행 등 고용부 소관 주요 국정과제가 마무리된 상태에서 ‘뒷처리’를 맡게 될 후임자 물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노경목/백승현 기자 autonomy@hankyung.com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내년 5월까지 1년 4개월 정도 남은만큼 해당 부처는 장관 교체 없이 정권 후반기를 보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조만간 개각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만만치 않다.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차기 대선 레이스를 맞아 안정적으로 국정을 관리하기 위한 개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미 청와대측은 개각이 있었던 20일 기자들에게 “집권 후반기 마무리와 성과 창출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개각을) 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3월께에는 경제 부처를 중심으로 추가 개각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세균 총리가 대선 출마를 위해 총리직을 내려놓을 시점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총리 교체와 함께 여러 부처의 개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 후임 장관들의 임기를 1년 이상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일단 개각이 되면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로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가장 빈번하게 거론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수출입은행장과 금융위원장을 연이어 맡으며 높은 신임을 얻고 있다는 점이 이유다.
차기 청와대 정책실장 내정설이 돌았던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도 유력한 후보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과 김용범 기재부 1차관 등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 문 대통령 측근이나 유력 정치인이 기재부 장관을 맡는 파격적인 인사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문화·체육계와 별다른 인연이 없는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화부 장관에 내정되면서 힘이 실리는 전망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후임으로는 주로 정치인들이 많이 거론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해온 조정식 의원과 우원식 의원 등이다. 지난 산업부 장관 교체 당시에도 하마평에 올랐던 인사들이다.
산업부 출신으로는 정승일 전 차관이 거론된다. 산업부 산하 기관및 공기업 사장이 장관으로 임명될 가능성도 있지만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 폐쇄 관련 수사로 상처를 입은 인사가 많아 후보군이 줄었다.
김용범 차관과 구윤철 실장은 산업부 장관 후보로도 거론된다. 다만 이번 정부 들어 기재부 출신이 다른 부처 장관을 맡는 사례가 크게 줄어 가능성은 높지 않다.
고용노동부 개각은 그야말로 '오리무중'이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이 3년차를 맞은 지난해 9월만 해도 개각 대상으로 거론되며 후임 장관으로 황덕순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유력하다는 설이 파다했으나 황 전 수석은 이달 임기가 만료된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장 후임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수석과 함께 유력하게 거론됐던 한정애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말 환경부 장관에 내정되면서 이미 떠난 '카드'다. 차기 고용부 장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됐던 두 사람의 행선지가 정해진 이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의 김경협 의원(민주당)의 입각설도 한때 나돌았으나, 김 의원도 지난 8일 국회 정보위원장에 선출되면서 가능성이 크게 떨어졌다.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 박주민 의원(민주당)의 전격 발탁설도 돌지만 노사관계 전문가들은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위한 노동관계법 개정,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제 시행 등 고용부 소관 주요 국정과제가 마무리된 상태에서 ‘뒷처리’를 맡게 될 후임자 물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노경목/백승현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