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세계 최강국을 이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일성에 큰 반향이 일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코로나 확산과 극한 정치대립 등으로 극심한 분열을 앓는 자국을 향해선 ‘통합’을, 중국의 부상 등 대외문제 해결을 위해선 ‘동맹 복원’을 외쳤다.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연설은 자극적이지 않은 평범한 언어 속에 묵직한 메시지를 담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그는 링컨 대통령을 인용하며 “내 모든 영혼이 미국과 미국인을 통합하는 데 들어 있다”고 강조했다. 대외적으론 “어제가 아닌, 오늘과 내일 맞닥뜨리는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 동맹을 복구해 다시 한번 세계에 관여하겠다”고 웅변했다.

백악관에서의 첫 행보부터 연설을 실천에 옮기는 모양새다.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임 대통령이 탈퇴했던 파리기후협약에 재가입하는 등 17개에 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했던 ‘트럼프 지우기’에 적극 나섰다는 분석이다. 이에 일본은 동맹 강화를 희망한다고 화답했고, 프랑스는 파리협약 복귀를 환영했다. 중국도 “공중보건,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하자”며 화해 제스처를 보였다.

‘안으로 통합’을 강조하는 바이든의 메시지는 한국 사회도 곱씹어 볼 것이 많다. 바이든이 치유하려고 하는 분열 갈등 증오가 만연한 사회상,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모습이 ‘남의 나라’ 일로만 치부할 수 없는 게 국내 현실이기 때문이다. 법과 절차, 상식과 합리를 무시한 정치권의 일방통행과 편가르기로 심각한 국론분열을 맞이한 게 오늘날 한국의 ‘민낯’이 아닌가.

바이든이 ‘동맹’을 강조한 대외 메시지는 ‘통합’ 메시지보다 직접적이고 현실적으로 와닿는다. 미국은 중국과의 갈등, 북한 핵문제를 비롯한 대(對)아시아 정책을 민주주의라는 가치와 기존 동맹 복원으로 접근하겠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급변하는 외교·안보 환경에서 한국의 선택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장기화하는 이란의 한국 선박 나포 문제도 미국의 지원과 협조 없이는 해결 실마리를 찾기 힘든 게 현실이다.

바이든이 제시한 ‘안으로 통합, 밖으로 동맹’은 여러모로 한국 사회가 직면한 안팎의 문제 해결에도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엄혹한 국제정세 전환기에 나온 귀중한 메시지를 가볍게 넘기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