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같은 뇌동맥류…고혈압 환자·흡연자 조기 검진해야
프로야구 롯데자이언츠 소속 민병헌 선수가 뇌동맥류 수술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박상규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동맥류는 예방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며 “위험인자를 갖고 있거나 직계가족 중 두 명 이상 뇌동맥류를 진단받은 적이 있다면 뇌혈관 촬영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인 다양한 뇌동맥류

뇌동맥류는 뇌동맥의 약한 부분 혈관이 부풀어오르는 질환이다. 뇌동맥류가 생기는 원인은 다양하다. 의료계에서는 고혈압과 흡연이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 깊다고 판단하고 있다. 혈관이 부푼 뇌동맥류가 위험한 이유는 언제 터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치료가 잘돼도 정상 생활로 돌아갈 수 있는 환자가 3분의 1 정도밖에 안된다. 두 번 넘게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10명 중 7명이 뇌손상으로 사망하거나 심한 후유증을 안고 산다.

뇌동맥류는 혈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상황에서 파열되기 쉽다. 힘주어 대변을 볼 때, 정신적 충격으로 갑자기 흥분했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 때 등이다. 드물지만 잠을 자다가 악몽 때문에 터지기도 한다.

뇌동맥류가 파열된 뒤 의식을 잃지 않은 환자의 대다수는 망치로 머리를 쾅 맞는 듯한 두통을 호소한다. 살면서 처음 경험하는 심한 두통이라고 한다. 진통제를 써도 소용없다. 뇌출혈량이 많으면 뇌손상 때문에 의식을 잃기 쉽다. 심한 후유증이 생기거나 사망하기도 한다. 뇌동맥류 파열이 의심되면 초기에 정확히 진단하는 게 중요한 이유다.

박 교수는 “파열된 뇌동맥류는 재파열 위험이 크다”며 “재파열은 2주 안에 25%, 6개월 안에 50% 이상 발생한다”고 했다. 재파열될수록 생존율은 급격히 떨어진다.

○파열 전 특별한 증상 없어

뇌동맥류는 파열 전 아무런 증상이 없다. 하지만 진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뇌혈관 상태를 미리 볼 수 있게 됐다. 조기 검진을 통해 파열 전 뇌동맥류를 찾아내는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다. 실제 국내에서도 매년 뇌 지주막하출혈 발생률은 비슷하지만,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를 진단해 치료하는 환자 숫자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혈관 내 색전술이라는 치료법 등장도 뇌동맥류 치료에 큰 변화를 줬다. 1990년대 처음 등장한 코일 색전술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뇌동맥류 주머니 안에 가느다란 코일을 채워 넣어 파열을 막는 치료법이다. 2000년대 초반 뇌 지주막하 출혈 다기관 공동임상 연구를 통해 이 치료법은 기존 수술적 클립 결찰술보다 효과가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 클립 결찰술은 클립으로 혈관을 묶거나 한 부분을 조이는 치료법이다.

공동 연구 이후 뇌동맥류 치료 패러다임은 크게 바뀌었다. 혈관 내 색전술 치료재료가 발전한 것도 치료법 변화에 큰 영향을 줬다. 국내에서도 2012년을 기점으로 뇌동맥류를 코일색전술로 치료하는 환자가 클립 결찰술 치료 환자보다 많아졌다.

뇌동맥류 진단을 받았다고 모두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위치, 모양, 크기에 따라 치료하지 않아도 특별히 위험하지 않은 뇌동맥류도 많다. 일부 뇌동맥류는 치료하는 게 더 위험해 치료하지 않기도 한다.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해 치료법을 결정해야 하는 이유다.

박 교수는 “뇌동맥류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이 많지 않다”며 “흡연, 고혈압, 동맥경화 등 혈관 건강 관련 인자가 위험인자로 알려졌기 때문에 평소 혈관 건강과 기저질환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