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담합'하려다 역효과…재고만 쌓이는 코코아 시장 [원자재포커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트디부아르·가나, 코코아에 '웃돈'
자국은 풍년, 초콜릿 수요는 줄어…"재고만 늘었다"
자국은 풍년, 초콜릿 수요는 줄어…"재고만 늘었다"
작년 11월말 19년만에 최대폭으로 치솟았던 코코아 원두 가격이 최근 힘없이 무너지고 있다. 세계 양대 코코아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와 가나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식 카르텔을 만들어 가격을 끌어올리려다 역효과가 크게 난 까닭이다. 코코아는 초콜릿 원료다.
25일 ICE 뉴욕 거래소에 따르면 코코아 선물 근월물은 지난 22일 t당 252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작년 11월24일 고점(t당 3054달러) 대비 가격이 약 17% 밀렸다.
코코아 시장을 주도하는 현물시장에선 거래가 확 줄었다. 로이터통신은 코트디부아르에서만 이달 말까지 팔리지 않은 코코아 재고가 20만t에 달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코트디부아르 코코아 재배업자들이 가격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라며 당국 건물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세계 코코아 시장은 최근 수개월간 혼란을 겪고 있다. 세계 코코아의 40% 이상을 생산하는 코트디부아르와 약 20%를 생산하는 가나가 손을 잡고 가격을 조정하려 한 영향이다. 양국은 이미 두 나라에서 생산한 코코아에 대해 t당 약 120달러 가량 ‘품질 프리미엄’을 받고 있다.
코트디부아르와 가나는 작년 10월부터 코코아 농장 노동자들의 생활 소득을 보장해야 한다며 코코아에 t당 400달러 프리미엄(LID)을 새로 붙였다. 여기에다 마하무두 바우미아 가나 부통령은 코코아 시장의 OPEC격인 ‘COPEC’을 결성해 코코아 가격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생산국 둘만 뭉쳐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인 만큼 카르텔을 결성할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양국의 가격 카르텔 계획은 초반부터 엇나갔다. 글로벌 초콜릿 대기업들이 다른 판로를 통해 코코아를 확보하고 나서서다. 북미 최대 초콜릿기업 허쉬는 현물시장 중개상 대신 미국·영국 선물시장에서 직접 코코아를 사들였다. 그간 선물시장은 주로 가격 변동 리스크 헷지용으로 쓴 것과는 반대 움직임이다. 작년 11월 코코아 선물가격이 단기 급등한 이유다.
이같은 양상에 현지 코코아 가격이 내렸다. 허쉬 등에 코코아를 파는 코코아 중개상들이 현지 매입을 크게 줄여서다. 한 코코아 수출업체 관계자는 로이터통신에 “LID 도입 이후 코코아 재고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며 “내년까지는 당장 거래할 수 있는 만큼만 코코아를 사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선물시장 가격 상승세도 오래가지 못했다. 세계 코코아 수급 상황 탓이다.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에선 코코아 대풍작으로 수확량이 크게 늘었다. 반면 세계 초콜릿 수요는 평년대비 저조한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식당, 호텔, 면세점 등 주요 초콜릿 수요처가 영업을 줄여서다. 이날 벨기에의 유명 초콜릿 브랜드 고디바는 북미의 모든 카페형 매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허쉬 등 초콜릿 기업이 코코아 확보를 두고 여유를 부릴 수 있는 이유다.
이에 따른 타격은 코코아 농가에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각 농가 창고에 코코아 원두가 쌓여가고 있다”며 “오는 4월부터 코코아 수확철을 거치면 또 엄청난 재고가 쌓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고량이 커질수록 주요 생산국의 세계 시장 가격 협상력은 떨어질 전망이다. 재고 상황이 악화되면서 코트디부아르 당국은 일단 재고 5만t을 사들이고, 재고 20만t에 대해선 상품화를 몇달 미루는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카르텔이 성공하려면 수급 상황이 핵심인데, 코트디부아르와 가나 당국은 이를 놓쳤고 그 대가를 농가들이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연성원자재 업계 관계자는 "t당 400달러 프리미엄 계획은 결국 실패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농산물에 과도한 프리미엄 가격을 붙이면 농가 생산량이 급증하고, 결국 가격을 올릴 수 없게 된다"며 "이런 계획은 코로나19 와중이든 아니든 실패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25일 ICE 뉴욕 거래소에 따르면 코코아 선물 근월물은 지난 22일 t당 252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작년 11월24일 고점(t당 3054달러) 대비 가격이 약 17% 밀렸다.
코코아 시장을 주도하는 현물시장에선 거래가 확 줄었다. 로이터통신은 코트디부아르에서만 이달 말까지 팔리지 않은 코코아 재고가 20만t에 달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코트디부아르 코코아 재배업자들이 가격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라며 당국 건물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세계 코코아 시장은 최근 수개월간 혼란을 겪고 있다. 세계 코코아의 40% 이상을 생산하는 코트디부아르와 약 20%를 생산하는 가나가 손을 잡고 가격을 조정하려 한 영향이다. 양국은 이미 두 나라에서 생산한 코코아에 대해 t당 약 120달러 가량 ‘품질 프리미엄’을 받고 있다.
코트디부아르와 가나는 작년 10월부터 코코아 농장 노동자들의 생활 소득을 보장해야 한다며 코코아에 t당 400달러 프리미엄(LID)을 새로 붙였다. 여기에다 마하무두 바우미아 가나 부통령은 코코아 시장의 OPEC격인 ‘COPEC’을 결성해 코코아 가격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생산국 둘만 뭉쳐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인 만큼 카르텔을 결성할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양국의 가격 카르텔 계획은 초반부터 엇나갔다. 글로벌 초콜릿 대기업들이 다른 판로를 통해 코코아를 확보하고 나서서다. 북미 최대 초콜릿기업 허쉬는 현물시장 중개상 대신 미국·영국 선물시장에서 직접 코코아를 사들였다. 그간 선물시장은 주로 가격 변동 리스크 헷지용으로 쓴 것과는 반대 움직임이다. 작년 11월 코코아 선물가격이 단기 급등한 이유다.
이같은 양상에 현지 코코아 가격이 내렸다. 허쉬 등에 코코아를 파는 코코아 중개상들이 현지 매입을 크게 줄여서다. 한 코코아 수출업체 관계자는 로이터통신에 “LID 도입 이후 코코아 재고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며 “내년까지는 당장 거래할 수 있는 만큼만 코코아를 사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선물시장 가격 상승세도 오래가지 못했다. 세계 코코아 수급 상황 탓이다.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에선 코코아 대풍작으로 수확량이 크게 늘었다. 반면 세계 초콜릿 수요는 평년대비 저조한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식당, 호텔, 면세점 등 주요 초콜릿 수요처가 영업을 줄여서다. 이날 벨기에의 유명 초콜릿 브랜드 고디바는 북미의 모든 카페형 매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허쉬 등 초콜릿 기업이 코코아 확보를 두고 여유를 부릴 수 있는 이유다.
이에 따른 타격은 코코아 농가에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각 농가 창고에 코코아 원두가 쌓여가고 있다”며 “오는 4월부터 코코아 수확철을 거치면 또 엄청난 재고가 쌓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고량이 커질수록 주요 생산국의 세계 시장 가격 협상력은 떨어질 전망이다. 재고 상황이 악화되면서 코트디부아르 당국은 일단 재고 5만t을 사들이고, 재고 20만t에 대해선 상품화를 몇달 미루는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카르텔이 성공하려면 수급 상황이 핵심인데, 코트디부아르와 가나 당국은 이를 놓쳤고 그 대가를 농가들이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연성원자재 업계 관계자는 "t당 400달러 프리미엄 계획은 결국 실패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농산물에 과도한 프리미엄 가격을 붙이면 농가 생산량이 급증하고, 결국 가격을 올릴 수 없게 된다"며 "이런 계획은 코로나19 와중이든 아니든 실패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