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차 구조조정에 부울경 협력사, 수요선 다변화로 위기 돌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르노삼성차의 수익성 강화 기조에 협력업체들은 단가 인하 요구 강해질까 울상
신차 적고 전기차 라인업 없어 장기적 관점에서도 르노삼성차 물량 회복에 회의적
XM3 수출물량 확보와 내수판매 증진이 현재 협력업체가 기댈 수 있는 유일한 희망 부산상공회의소 모습. 부산상의 제공.
르노삼성자동차가 ‘서바이벌 플랜’이라는 고강도의 구조조정 계획을 내놓으면서 지역의 협력사들이 동요하고 있다. 협력업체의 상당수가 2019년 치열했던 임단협의 과정을 거친데다 지난해 코로나19로 물량 감소가 장기화되면서 수요선을 다변화해 자구 노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25일 르노삼성차 구조조정 발표에 대한 부․울․경 협력사들의 동향을 긴급 모니터링한 자료를 내놓았다. 조사대상은 부산과 울산, 경남 지역의 르노삼성차 협력사 60개사다.
모니터링 자료에 따르면, 협력업체 대다수가 2019년 임금단체협약 장기화와 지난해 코로나19의 과정을 거치면서 평균 20% 정도의 인원을 감축했고, 매출은 20∼30% 감소했다.
이번 구조조정 발표에 대해서는 일부 긍정적 효과를 예상한 협력사도 있었지만 대다수는 수익성 개선을 강조한 구조조정이 단가 인하 압력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부산에 소재한 한 협력사는“구조조정이 끝나면 다음 차례는 협력업체 단가 인하가 예상된다”고 했다. 창원의 협력사 역시“수익성 관리 차원에서 협력사에 단가 인하 압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향후 르노삼성차의 물량 회복 전망에 대해서도 협력사들은 대체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산공장의 특성상 신차가 많지 않은데다 전기차 라인업이 없는 것도 장기적 관점에서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창원에서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A사는“르노삼성차가 전기차 라인업를 제대로 갖추지 못해 자동차 트렌드 변화에 뒤쳐져 있다”며 “정상화를 위해서는 단기적 물량확보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내연기관 중심의 생산 라인업을 탈피해 미래차 경쟁력을 확보하는 쪽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르노삼성차에 대한 장단기적인 경영 회복 전망이 회의적인 가운데 협력사 상당수는 수요선 다변화 전략을 통해 자체적인 위기 극복 솔루션을 만들어 가고 있다.
부산의 B사의 경우“르노삼성차의 로그 위탁생산이 종료된 이후 닛산으로 직수출 비중을 높여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고 했다. C사는“전기차베터리 관련 부품의 비중을 확대해 손실을 만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D사도 LG화학에 전기차베터리 커버 공급을 장기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친환경 전기차 분야로 수출을 확대한 기업도 있었다. E사는 글로벌 브랜드의 전기차 부품 수출 비중을 늘려가고 있었고, F사는 테슬라에도 제품을 납품하는 등 르노삼성차 부품 협력사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르노삼성차와 협력사들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차 XM3의 수출물량 확보와 내수 판매 증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3월 종료된 닛산의 로그 위탁 수출 물량을 대체하기 위해 르노그룹 본사로부터 XM3에 대한 생산 위탁을 받았지만 코로나19로 유럽시장이 회복되지 못해 계획 물량조차도 생산을 줄이고 있다. 최근에는 결함 이슈가 터지면서 내수 판매도 급감해 협력사의 우려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해의 G사는“XM3 생산 및 판매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어 XM3 매출 증가가 기업 경영 개선과 직결되고 있다”고 했다. 부산의 H사도“작년까지만 해도 XM3의 인기로 어느 정도 생산량이 확보되었으나 최근 엔진결함 이슈로 인해 물량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르노삼성차의 구조조정은 지역의 협력업체의 어려움으로 직결되는 만큼, 협력사 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조정이 지역의 고용시장에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지원기관들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수요선 다변화를 위한 협력사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부품협력사들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를 확대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신차 적고 전기차 라인업 없어 장기적 관점에서도 르노삼성차 물량 회복에 회의적
XM3 수출물량 확보와 내수판매 증진이 현재 협력업체가 기댈 수 있는 유일한 희망 부산상공회의소 모습. 부산상의 제공.
르노삼성자동차가 ‘서바이벌 플랜’이라는 고강도의 구조조정 계획을 내놓으면서 지역의 협력사들이 동요하고 있다. 협력업체의 상당수가 2019년 치열했던 임단협의 과정을 거친데다 지난해 코로나19로 물량 감소가 장기화되면서 수요선을 다변화해 자구 노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25일 르노삼성차 구조조정 발표에 대한 부․울․경 협력사들의 동향을 긴급 모니터링한 자료를 내놓았다. 조사대상은 부산과 울산, 경남 지역의 르노삼성차 협력사 60개사다.
모니터링 자료에 따르면, 협력업체 대다수가 2019년 임금단체협약 장기화와 지난해 코로나19의 과정을 거치면서 평균 20% 정도의 인원을 감축했고, 매출은 20∼30% 감소했다.
이번 구조조정 발표에 대해서는 일부 긍정적 효과를 예상한 협력사도 있었지만 대다수는 수익성 개선을 강조한 구조조정이 단가 인하 압력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부산에 소재한 한 협력사는“구조조정이 끝나면 다음 차례는 협력업체 단가 인하가 예상된다”고 했다. 창원의 협력사 역시“수익성 관리 차원에서 협력사에 단가 인하 압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향후 르노삼성차의 물량 회복 전망에 대해서도 협력사들은 대체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산공장의 특성상 신차가 많지 않은데다 전기차 라인업이 없는 것도 장기적 관점에서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창원에서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A사는“르노삼성차가 전기차 라인업를 제대로 갖추지 못해 자동차 트렌드 변화에 뒤쳐져 있다”며 “정상화를 위해서는 단기적 물량확보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내연기관 중심의 생산 라인업을 탈피해 미래차 경쟁력을 확보하는 쪽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르노삼성차에 대한 장단기적인 경영 회복 전망이 회의적인 가운데 협력사 상당수는 수요선 다변화 전략을 통해 자체적인 위기 극복 솔루션을 만들어 가고 있다.
부산의 B사의 경우“르노삼성차의 로그 위탁생산이 종료된 이후 닛산으로 직수출 비중을 높여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고 했다. C사는“전기차베터리 관련 부품의 비중을 확대해 손실을 만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D사도 LG화학에 전기차베터리 커버 공급을 장기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친환경 전기차 분야로 수출을 확대한 기업도 있었다. E사는 글로벌 브랜드의 전기차 부품 수출 비중을 늘려가고 있었고, F사는 테슬라에도 제품을 납품하는 등 르노삼성차 부품 협력사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르노삼성차와 협력사들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차 XM3의 수출물량 확보와 내수 판매 증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3월 종료된 닛산의 로그 위탁 수출 물량을 대체하기 위해 르노그룹 본사로부터 XM3에 대한 생산 위탁을 받았지만 코로나19로 유럽시장이 회복되지 못해 계획 물량조차도 생산을 줄이고 있다. 최근에는 결함 이슈가 터지면서 내수 판매도 급감해 협력사의 우려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해의 G사는“XM3 생산 및 판매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어 XM3 매출 증가가 기업 경영 개선과 직결되고 있다”고 했다. 부산의 H사도“작년까지만 해도 XM3의 인기로 어느 정도 생산량이 확보되었으나 최근 엔진결함 이슈로 인해 물량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르노삼성차의 구조조정은 지역의 협력업체의 어려움으로 직결되는 만큼, 협력사 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조정이 지역의 고용시장에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지원기관들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수요선 다변화를 위한 협력사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부품협력사들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를 확대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