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통업계, 고가 선물 전년보다 수량 늘려
▽ 코로나로 귀향 못해 고가 선물 주려는 수요도
![유통업계가 설 연휴를 2주 앞두고 본격적으로 선물세트 본 판매에 돌입했다. /사진=롯데백화점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154080.1.jpg)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권익위의 선물 상한액 상향을 예상하고 호주 와규 세트(19만원)를 비롯한 한우, 굴비, 홍삼 등 18만~20만원의 상당의 선물세트를 기존 예정 수량보다 2만1000여 개 많이 준비했다.
신세계백화점 역시 10만원 이상의 상품 비중을 작년 설 대비 20%가량 늘렸다. 한우 스테이크, 한우 불고기, 한우 차돌과 관자 삼합 등 14만~18만원으로 가격을 맞춘 상품이 이에 해당한다. 현대백화점 역시 과일, 굴비 등 10만원대 상품 물량을 지난해 설보다 약 10% 늘려 준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귀향 대신 고가 선물을 준비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지난 24일 서울의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정육 선물세트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ZA.25136761.1.jpg)
선물 금액 상한액이 상향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권익위는 지난해 추석 기간에도 선물 상한액을 20만원으로 올린 바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기간 백화점·대형마트 등 유통업계의 농수산 선물 매출은 2019년 추석에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만~20만원대 선물 매출은 1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형마트 역시 고가의 선물 물량을 늘리는 등 대비 태세에 나섰다. 롯데마트는 10만~20만원대 설 선물세트를 전년 대비 20% 늘렸다. 홈플러스는 한우 차별화 세트 품목을 지난 설 대비 270%로 늘렸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선물 상한액 상향 효과로 침체기를 겪고 있는 유통가에 활력이 돌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로 고향을 방문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고가의 제품을 선물하려는 수요도 겹쳤다"고 말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