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시장 선점' 꿈 멀어졌다…뜻밖의 복병 만난 K전기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차 전기차 선점 전략, '바이 아메리칸' 복병 만나 [이슈+]
▽ 바이든 "미국 관용차 전부 전기차로 교체"
▽ 조건은 미국서 생산·미국산 부품 50% 사용
▽ 바이든 "미국 관용차 전부 전기차로 교체"
▽ 조건은 미국서 생산·미국산 부품 50% 사용
![현대차, 전기차 아이오닉5 공개. 사진 = 현대차](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D.25048490.1.jpg)
2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전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하반기 전기차 아이오닉5를 미국 시장에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올 3월 유럽을 시작으로 한국, 미국으로 순차 출시한다는 구상이다.
아이오닉5는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최초 전기차다. 내연기관 자동차 플랫폼에서 탈피하며 기존 전기차의 한계로 지적됐던 주행거리, 충전 속도가 대폭 개선됐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를 필두로 제네시스 JW, 아이오닉6·7 등 E-GMP 기반 전기차 라인업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미국 제품 구매를 우선하겠다는 기조를 천명한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미국제품 구매)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전 연설을 하고 있다. 이 행정명령은 미국산 상품 구매 확대를 위해 연방기관이 미국 기업과 근로자로부터 더 많은 상품·서비스를 사도록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진=AP](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ZA.25151114.1.jpg)
연방 조달청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연방 정부 보유 차량은 약 65만대에 이른다. 이 차량들이 앞으로 전량 전기차로 대체된다. 결코 적은 규모가 아니다. 미국 시장 점유율 1위 테슬라의 지난해 생산량도 50만대를 넘지 못했다.
여기에 더해 바이든 대통령은 전기차 구매시 보조금이나 판매 장려금 지급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후보자 시절 내세운 공약에 따라 보조금 지급 대상은 미국산 전기차로 한정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미국에 전기차 생산 라인이 없는 현대차는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중국, 유럽과 더불어 세계 3대 전기차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 시장 공략 전략을 세운 현대차는 궤도 일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그간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해 친환경차에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던 만큼 중국과 유럽에 비해 성장 여력이 큰 것으로 꼽힌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전경.사진 =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2524301.1.jpg)
미 CNBC는 "미국에서 미국산 부품으로 전기차를 생산하는 자동차 업체는 테슬라, 제너럴모터스(GM), 닛산 세 곳뿐"이라며 "관용차를 모두 전기차로 바꾸려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차도 '바이 아메리칸'의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용차 대수가 약 65만대로 상당히 많은 데다 교체 시행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또 현대차는 지난해 바이든 대통령 당선이 유력해지자 미국 물량을 유럽 시장으로 돌리는 등 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해 왔다. 한층 여유로운 전략 마련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일각에선 바이든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가 트럼프 정부보다 강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현대차를 비롯한 수출기업의 어려움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이미 연방정부는 미국산 대신 외국산 제품을 살 수 있는 예외조항을 축소키로 했다"며 "백악관 예산관리국에 관련 고위직까지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토로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