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적자도 1.7조…서울교통公, 월급날 못지킬 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市에 돈 빌려 '돌려막기' 허덕
시내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의 양대 축인 지하철도 상황이 심각하다. 지하철 1~9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1조원 규모의 사상 최대 순손실을 냈다. 공사는 스스로 ‘도산 직전’이라고 토로할 정도로 벼랑 끝에 몰렸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총 수송 인원이 19억70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27.4% 감소했다고 28일 발표했다. 공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대중교통 수요가 급감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공사의 운수 수입은 지난해 1조2199원으로 전년보다 27.0% 줄었고, 결국 총 9900억원의 적자로 이어졌다.
그동안 서울교통공사는 만성적인 적자 운영 구조로 매년 5000억원대 손실을 내왔다. 65세 이상 무임승차, 버스 환승 서비스 등으로 수송원가(1인당 1440원) 대비 평균 운임(946원)이 34%가량 낮아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지난해 코로나19로 이용객이 줄면서 손실 규모가 예년의 두 배로 커졌다.
지하철 적자는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5개 도시 지하철 운영기관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총 7400억원에 달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연말까지 일시에 자금이 고갈돼 직원 임금이 체납될 위기를 맞기도 했다. 연말 보수공사 사업비 지급이 몰려 있던 데다 5400억원 규모의 기업어음(CP) 만기도 한꺼번에 돌아왔기 때문이다.
공사는 여러 규정에 막혀 자금 부족분을 무조건 빚으로 메울 순 없다. 공사채는 사업목적이 정해져 있어 용도에 한계가 있다. CP는 ‘발행 연도 내에 상환하라’는 지방공기업법 규정에 따라 무조건 12월까지 상환해야 한다. 공사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서울시에 긴급 단기 융자를 요청해 CP를 갚고 연초에 다시 CP를 빌려 서울시 융자를 갚는다. ‘자금 돌려막기’로 매번 고비를 넘기는 셈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대중교통 재정 악화는 시민의 안전, 공공 서비스 질과 직결되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총 수송 인원이 19억70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27.4% 감소했다고 28일 발표했다. 공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대중교통 수요가 급감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공사의 운수 수입은 지난해 1조2199원으로 전년보다 27.0% 줄었고, 결국 총 9900억원의 적자로 이어졌다.
그동안 서울교통공사는 만성적인 적자 운영 구조로 매년 5000억원대 손실을 내왔다. 65세 이상 무임승차, 버스 환승 서비스 등으로 수송원가(1인당 1440원) 대비 평균 운임(946원)이 34%가량 낮아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지난해 코로나19로 이용객이 줄면서 손실 규모가 예년의 두 배로 커졌다.
지하철 적자는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5개 도시 지하철 운영기관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총 7400억원에 달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연말까지 일시에 자금이 고갈돼 직원 임금이 체납될 위기를 맞기도 했다. 연말 보수공사 사업비 지급이 몰려 있던 데다 5400억원 규모의 기업어음(CP) 만기도 한꺼번에 돌아왔기 때문이다.
공사는 여러 규정에 막혀 자금 부족분을 무조건 빚으로 메울 순 없다. 공사채는 사업목적이 정해져 있어 용도에 한계가 있다. CP는 ‘발행 연도 내에 상환하라’는 지방공기업법 규정에 따라 무조건 12월까지 상환해야 한다. 공사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서울시에 긴급 단기 융자를 요청해 CP를 갚고 연초에 다시 CP를 빌려 서울시 융자를 갚는다. ‘자금 돌려막기’로 매번 고비를 넘기는 셈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대중교통 재정 악화는 시민의 안전, 공공 서비스 질과 직결되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