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에 따른 근로손실일수 작년 55만4000일…전년보다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 정부 들어 첫 증가…2000년 이후 최저인 전년 기저효과도 작용
지난해 파업에 따른 기업의 손실을 보여주는 지표인 '근로손실일수'가 전년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노동연구원 '노동 리뷰' 1월호에 실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55만4천일로, 전년(40만2천일)보다 37.8% 증가했다.
근로손실일수는 파업으로 하루 8시간 이상 조업 중단을 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지표로, 파업 참가자 수에 파업 시간을 곱하고 이를 하루 근로시간(8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파업 참가자가 많고 파업 기간이 길수록 증가한다.
근로손실일수의 증가는 노사관계가 그만큼 악화한 신호로 볼 수 있다.
지난해 근로손실일수의 급증에는 기저 효과도 작용했다.
비교 대상인 2019년 근로손실일수가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연도별 근로손실일수를 보면 지난해 특별히 많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현 정부 들어 근로손실일수는 2017년 86만2천일, 2018년 55만2천일, 2019년 40만2천일로 계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증가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정희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작년 근로손실일수 증가에 대해 "기아차, 코웨이, 한국GM, 코레일네트웍스, STX해양조선 등 대규모 사업장 파업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증가했으나 파업 건수는 105건으로, 전년(141건)보다 25.5% 감소했다.
100인 이상 사업장 가운데 임금 인상률을 결정하고 고용노동부에 그 결과를 제출한 사업장의 비율인 '임금 교섭 진도율'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57.2%로, 1998년 이후 가장 낮았다.
임금 인상률을 둘러싼 노사 이견으로 교섭이 장기화한 사업장이 많다는 얘기다.
작년 11월 말까지 누계 협약임금(노사가 임단협으로 정한 임금) 인상률은 평균 3.2%로, 전년 동기(4.0%)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상황에서 노조가 양보 교섭 전략을 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100∼299인 사업장 3.6%, 300∼499인 3.4%, 500∼999인 3.3%, 1천인 이상 2.8%로, 규모가 클수록 협약임금 인상률이 낮았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현대차, 기아차, 삼성중공업, 포스코 등에서 임금을 동결하기로 합의한 게 대규모 사업장의 낮은 인상률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30일 한국노동연구원 '노동 리뷰' 1월호에 실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55만4천일로, 전년(40만2천일)보다 37.8% 증가했다.
근로손실일수는 파업으로 하루 8시간 이상 조업 중단을 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지표로, 파업 참가자 수에 파업 시간을 곱하고 이를 하루 근로시간(8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파업 참가자가 많고 파업 기간이 길수록 증가한다.
근로손실일수의 증가는 노사관계가 그만큼 악화한 신호로 볼 수 있다.
지난해 근로손실일수의 급증에는 기저 효과도 작용했다.
비교 대상인 2019년 근로손실일수가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연도별 근로손실일수를 보면 지난해 특별히 많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현 정부 들어 근로손실일수는 2017년 86만2천일, 2018년 55만2천일, 2019년 40만2천일로 계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증가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정희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작년 근로손실일수 증가에 대해 "기아차, 코웨이, 한국GM, 코레일네트웍스, STX해양조선 등 대규모 사업장 파업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증가했으나 파업 건수는 105건으로, 전년(141건)보다 25.5% 감소했다.
100인 이상 사업장 가운데 임금 인상률을 결정하고 고용노동부에 그 결과를 제출한 사업장의 비율인 '임금 교섭 진도율'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57.2%로, 1998년 이후 가장 낮았다.
임금 인상률을 둘러싼 노사 이견으로 교섭이 장기화한 사업장이 많다는 얘기다.
작년 11월 말까지 누계 협약임금(노사가 임단협으로 정한 임금) 인상률은 평균 3.2%로, 전년 동기(4.0%)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상황에서 노조가 양보 교섭 전략을 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100∼299인 사업장 3.6%, 300∼499인 3.4%, 500∼999인 3.3%, 1천인 이상 2.8%로, 규모가 클수록 협약임금 인상률이 낮았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현대차, 기아차, 삼성중공업, 포스코 등에서 임금을 동결하기로 합의한 게 대규모 사업장의 낮은 인상률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