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격 준비하는 미국 '게임스톱' 공매도 기관 "항복 안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게임스톱' 공매도로 200억달러 손실 봤지만
기관 물량 감소분은 8% 그쳐…"포지션 유지"
S3 파트너스 "숏커버링 기관도 극히 일부"
기관 물량 감소분은 8% 그쳐…"포지션 유지"
S3 파트너스 "숏커버링 기관도 극히 일부"
![미국 공매도 기관 투자자들의 집중 타깃이 됐던 게임스톱 매장 모습. EPA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ZA.25181516.1.jpg)
금융정보 분석업체인 S3 파트너스에 따르면 공매도 투자자들은 이번 ‘개인과 공매도 세력 간 전쟁’ 이후 총 197억5000만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9일 하루 손실액만 80억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게임스톱 주가가 급등했던 지난주 공매도 주식 총량은 500만 주 줄어드는 데 그쳤다. 주식 비중으로 따지면 단 8%만 감소했다. 큰 손실 후 청산에 나선 공매도 기관이 극히 일부인데다 새로운 공매도 펀드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어서다.
또 대다수 공매도 기관들은 종전의 ‘주가 하락 포지션’을 그대로 유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상 처음으로 개미들이 공매도 기관과 전쟁해 승리를 거뒀다”는 분석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다.
![지난주 급등락한 게임스톱 주가. CNBC 캡처](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201249.1.jpg)
S3 파트너스의 예측 분석 전문가인 아이호 두사니스키는 “대다수 공매도 기관들의 보유 주식에 별로 변동이 없었다는 게 정확한 팩트”라며 “상당수가 숏커버링(공매도 후 주가 상승 때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 재매수에 나서는 것)에 나섰다는 소식 역시 오보”라고 말했다.
게임스톱 주가는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주당 20달러 밑에서 움직였으나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 세력에 본때를 보여주자”고 뭉치면서 29일 325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달 상승률만 따져도 1600%에 달한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