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이후 최대… 직원 내보내는 자영업자들 16만명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직원을 둔 자영업자들이 지난해 급감했다. 감소폭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가장 컸다.
반면, 직원을 두지 않은 1인 자영업자 수는 비교적 큰 폭으로 늘었는데, 코로나19 여파에 직원들을 내보내고 1인 자영업자로 내려앉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평균 자영업자 수는 총 553만1000명으로 집계된다. 이는 외환위기 직전인 1994년(537만6000명)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수는 통계작성이 시작된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02년(621만2000명) 정점을 찍은 후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자영업자 수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서민 체감 경기가 나빠질수록 급감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의 경우 자영업자가 7만5000명 줄었다. 2018년 -4만4000명, 2019년 -3만2000명에 이어 3년째 감소인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자영업자들은 우리 국민 중 가장 큰 손실을 입은 계층 중 하나다.
눈여겨볼 부분은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동향이 상이한 점이다. 직원을 둔, 상대적으로 영업을 크게 하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137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5000명 감소했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가장 크게 나타났던 1998년 -24만7000명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반면 고용원이 없는 1인 자영업자의 수는 9만명이 늘었다. 증가 규모로 따지면 2001년 10만2천명 이후 19년 만에 가장 크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줄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늘어나는 현상은 2019년에 이어 2년째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지난해엔 그 정도가 부쩍 심해졌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감소 폭이 11만4000명에서 16만5000명으로 커지는 동안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증가 폭은 8만1000명에서 9만명으로 증가했다.
가장 두드러지는 분석 가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경영상 위기를 겪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들이 직원을 해고하고 1인 자영업자로 내려앉았을 가능성이다. 매출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일단 고용을 줄여 버티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영업 제한·금지 업종의 경우 매출 감소 상황에서 직원을 해고해 고정비용을 줄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고용원을 둔 창업보다는 1인 창업이 더 활성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꼭 창업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일단 1인 창업으로 시작하고 추후 상황을 보고 추가 고용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 등 상황에 맞춰 메뉴를 주문받는 직원을 내보내고 대신 키오스크(무인단말기)를 도입하는 사례가 느는 것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요인으로 꼽힌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반면, 직원을 두지 않은 1인 자영업자 수는 비교적 큰 폭으로 늘었는데, 코로나19 여파에 직원들을 내보내고 1인 자영업자로 내려앉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평균 자영업자 수는 총 553만1000명으로 집계된다. 이는 외환위기 직전인 1994년(537만6000명)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수는 통계작성이 시작된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02년(621만2000명) 정점을 찍은 후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자영업자 수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서민 체감 경기가 나빠질수록 급감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의 경우 자영업자가 7만5000명 줄었다. 2018년 -4만4000명, 2019년 -3만2000명에 이어 3년째 감소인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자영업자들은 우리 국민 중 가장 큰 손실을 입은 계층 중 하나다.
눈여겨볼 부분은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동향이 상이한 점이다. 직원을 둔, 상대적으로 영업을 크게 하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137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5000명 감소했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가장 크게 나타났던 1998년 -24만7000명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반면 고용원이 없는 1인 자영업자의 수는 9만명이 늘었다. 증가 규모로 따지면 2001년 10만2천명 이후 19년 만에 가장 크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줄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늘어나는 현상은 2019년에 이어 2년째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지난해엔 그 정도가 부쩍 심해졌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감소 폭이 11만4000명에서 16만5000명으로 커지는 동안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증가 폭은 8만1000명에서 9만명으로 증가했다.
가장 두드러지는 분석 가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경영상 위기를 겪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들이 직원을 해고하고 1인 자영업자로 내려앉았을 가능성이다. 매출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일단 고용을 줄여 버티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영업 제한·금지 업종의 경우 매출 감소 상황에서 직원을 해고해 고정비용을 줄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고용원을 둔 창업보다는 1인 창업이 더 활성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꼭 창업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일단 1인 창업으로 시작하고 추후 상황을 보고 추가 고용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 등 상황에 맞춰 메뉴를 주문받는 직원을 내보내고 대신 키오스크(무인단말기)를 도입하는 사례가 느는 것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요인으로 꼽힌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