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차량용 반도체, 선택과 집중으로 기회 창출 필요' 제목의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최근 자율주행·파워트레인 전동화·전장부품 확대 등 여파로 차량용 반도체 수와 종류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이같이 말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 쓰이는 차량용 반도체 수는 200~300개에 불과하지만 자율주행(3단계) 자동차에는 2000개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2019년 418억달러에서 2022년 553억달러, 2024년 655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또 연구원은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설계→생산)가 아직 형성 초기 단계이기에 강점이 있는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현재 삼성전자를 필두로 국내 반도체 업계는 중앙처리장치인 AP와 TCU(차량용 통신 장비) 등 일부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 새롭게 진출하고 있다.
연구원은 "국내 업계가 잠재적 경쟁력을 보유한 AP와 C-V2X(차량통신) 칩 등을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자율주행 AI(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 도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차량용 반도체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글로벌 선도기업에 의해 기술 장벽이 높아지기 이전에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기능 안전 분야 기술시험·인증체계도 국내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