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김은혜 대변인은 논평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발전소 USB' 전달도 없던 일처럼 하려다 하루도 안 돼 들통이 났다"며 "발뺌만이 능사가 아니다. 더 깊은 혼란 전에 '미스터리 문건' 실체에 대해 결자해지를 해달라"고 촉구했다.
당시 문 대통령이 '도보다리 대화' 때 김 위원장에게 USB를 건넸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조한기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악의적 왜곡"이라고 반박했지만, 정상회담 때 문 대통령이 발전소 관련 내용이 담긴 USB를 건넨 것 자체는 사실이라고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 산업위 간사인 이철규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단순 아이디어' 차원이었다고 해명한 데 대해 "탈원전 정책이 서슬 퍼렇던 때였다. 그 시절에 감히 어떤 공무원이 (윗선의 지시 없이) 북한 원전 건설 추진을 아이디어로 내놓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USB에 원전 내용은 없었다'는 여권의 해명에 대해서도 "지금이라도 청와대가 USB 내용을 공개하면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시장 후보경선에 출마한 나경원 예비후보도 "조직적 은폐 자체가 강한 의심을 가지게 할 수밖에 없다"며 USB를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김기현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문제가 된 이번 자료의 폴더명을 우리말로 '북쪽'이라는 뜻의 핀란드어 '뽀요이스'(pohjois)로 해놓은 점을 가리켜 "무슨 말인지도 모르는 외국어까지 동원해 꼭꼭 숨겨놓고 왜 문건을 삭제하느냐. 아마 큰 사고를 친 모양"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부 언론은 최근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도보다리 회담' 때 '발전소 USB'를 건넸다고 보도했다. 이 USB에 북한 원전 건설 문제가 담겼을지 모른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를 비롯한 여권은 북한에 원전 건설을 추진한 적이 없다며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경로가 어찌됐든 첫 회담을 계기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발전소 내용이 포함된 USB를 전달한 것은 사실이다.
문 대통령이 정상회담 직후인 2018년 4월 3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직접 관련 문제를 언급한 바 있어서다. 실제로 도보다리 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발전소'라는 말을 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이를 해명하는 차원에서 해당 발언이 나왔다.
당시 수보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구두로 그것을 논의한 적은 없다. 다만 김 위원장에게 자료를 하나 넘겼는데 거기에는 담겨 있다. 신경제 구상을 담은 책자와 프레젠테이션 영상으로 만들어서 직접 건네줬다. 그 영상 속에 발전소와 관련한 내용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료는 USB에 담겨 넘겨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통일부 차원에서 어떤 경우에도 북한에 원전을 지어준다는 것과 관련한 논의를 한 적이 없다는 말씀을 분명하게 드린다"며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관련한 40여 쪽 분량 (자료를) 긴급히 검토했지만, 원전의 '원' 자도 없었다"고 강조헀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