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4월 27일 오후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산책하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4월 27일 오후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산책하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북한에 원전 건설을 추진했다는 의혹과 관련, 국민의힘은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4월 1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건넨 '한반도 신경제 구상 USB'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1일 김은혜 대변인은 논평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발전소 USB' 전달도 없던 일처럼 하려다 하루도 안 돼 들통이 났다"며 "발뺌만이 능사가 아니다. 더 깊은 혼란 전에 '미스터리 문건' 실체에 대해 결자해지를 해달라"고 촉구했다.

당시 문 대통령이 '도보다리 대화' 때 김 위원장에게 USB를 건넸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조한기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악의적 왜곡"이라고 반박했지만, 정상회담 때 문 대통령이 발전소 관련 내용이 담긴 USB를 건넨 것 자체는 사실이라고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 산업위 간사인 이철규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단순 아이디어' 차원이었다고 해명한 데 대해 "탈원전 정책이 서슬 퍼렇던 때였다. 그 시절에 감히 어떤 공무원이 (윗선의 지시 없이) 북한 원전 건설 추진을 아이디어로 내놓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USB에 원전 내용은 없었다'는 여권의 해명에 대해서도 "지금이라도 청와대가 USB 내용을 공개하면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시장 후보경선에 출마한 나경원 예비후보도 "조직적 은폐 자체가 강한 의심을 가지게 할 수밖에 없다"며 USB를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김기현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문제가 된 이번 자료의 폴더명을 우리말로 '북쪽'이라는 뜻의 핀란드어 '뽀요이스'(pohjois)로 해놓은 점을 가리켜 "무슨 말인지도 모르는 외국어까지 동원해 꼭꼭 숨겨놓고 왜 문건을 삭제하느냐. 아마 큰 사고를 친 모양"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부 언론은 최근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도보다리 회담' 때 '발전소 USB'를 건넸다고 보도했다. 이 USB에 북한 원전 건설 문제가 담겼을지 모른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를 비롯한 여권은 북한에 원전 건설을 추진한 적이 없다며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경로가 어찌됐든 첫 회담을 계기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발전소 내용이 포함된 USB를 전달한 것은 사실이다.

문 대통령이 정상회담 직후인 2018년 4월 3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직접 관련 문제를 언급한 바 있어서다. 실제로 도보다리 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발전소'라는 말을 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이를 해명하는 차원에서 해당 발언이 나왔다.

당시 수보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구두로 그것을 논의한 적은 없다. 다만 김 위원장에게 자료를 하나 넘겼는데 거기에는 담겨 있다. 신경제 구상을 담은 책자와 프레젠테이션 영상으로 만들어서 직접 건네줬다. 그 영상 속에 발전소와 관련한 내용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료는 USB에 담겨 넘겨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통일부 차원에서 어떤 경우에도 북한에 원전을 지어준다는 것과 관련한 논의를 한 적이 없다는 말씀을 분명하게 드린다"며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관련한 40여 쪽 분량 (자료를) 긴급히 검토했지만, 원전의 '원' 자도 없었다"고 강조헀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