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보건 중추 기능'…송철호 시장과 구·군 단체장, 계획 발표 회견
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신청, 조속한 사업 위해 부지 선정 먼저
2천억 투입 2025년까지 최대 500병상 울산의료원 설립 추진
울산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시민 보건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울산의료원 설립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5개 구·군 단체장들과 함께 이날 오후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울산의료원 설립 의지와 추진계획 등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시는 총사업비 1천500억∼2천억원을 들여 300∼500병상, 20여 개 진료과 규모로 2025년까지 울산의료원을 설립한다.

이를 위해 2∼3월 울산의료원 설립을 위한 '범시민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공신력 있는 기관에 '울산의료원 설립 타당성 조사용역'을 의뢰할 계획이다.

8∼9월께 보건복지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이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받고자 기획재정부와도 협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시는 조속한 사업 진행을 위해 타당성 조사용역과 별개로 부지 선정 절차를 먼저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부지 선정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지역 내 불필요한 갈등, 그에 따른 후속 절차 지연 등을 방지하려는 목적이다.

2천억 투입 2025년까지 최대 500병상 울산의료원 설립 추진
앞서 울산지역 5개 구·군은 "공공의료원 울산 유치에 힘을 모으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입지 유치 경쟁을 자제하자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저마다 울산의료원 유치를 강하게 원하고 있어, 물밑에서는 부지 선정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송 시장은 "5개 구·군이 제출한 후보지를 대상으로 시와 울산연구원이 1차 검토한 뒤,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시정조정위원회에서 부지를 결정할 것"이라면서 "5명 단체장 모두 절차에 동의하고, 결과는 대승적으로 수용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혔다.

현재 건립이 진행 중인 산재전문 공공병원과 울산의료원의 기능이 중복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송 시장은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울산은 산재병원이 조성되더라도 공공병상 수는 대구·광주 등 다른 광역시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므로 그 필요성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송 시장은 이어 "산재병원은 재활 환자 위주로, 공공의료원은 노인과 취약계층 등을 위한 공적 기능을 수행한다면 기능이 겹치는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재전문 병원은 2019년 1월 정부의 예타 조사 면제 사업으로 선정돼,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공공주택지구에 2024∼2025년 개원 목표로 건립되고 있다.

300병상 규모에 18개 진료과가 운영될 이 이 병원에는 직업병연구소, 재활보조기연구소 등도 들어선다.

총사업비 2천59억원이 투입된다.

송 시장은 "전대미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광범위하고 깊게 우리 삶을 괴롭히고 있고, 이 때문에 울산의료원 설립은 지역의 가장 큰 숙제가 됐다"라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울산의료원이 중추 기관이 돼 시민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모두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