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Fed 의장…버블 터뜨리지 않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월스트리트저널 보도
Fed가 증시상승 막을 일 없어
Fed가 증시상승 막을 일 없어
‘게임스톱’ 주가 폭등을 계기로 월가에 버블 경계론이 커지고 있다. 일부에선 커지는 버블 탓에 미국 중앙은행(Fed)이 넘치는 유동성을 거둬들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이번 버블을 터뜨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지난 30일자 ‘Powell Won’t Pop This Bubble’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주가 밸류에이션이 높아지면서 일부 사람에겐 거품 경보가 울리기 시작했다”며 “하지만 Fed가 증시 상승을 가로막을 위험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S&P500지수가 4000 근처까지 급등하면서 뉴욕증시 주가수익비율(PER)은 20배 중반까지 치솟는 등 닷컴버블 수준 이상으로 높아졌다. 비트코인 가격이 4만달러 이상으로 치솟고 게임스톱 주식도 한 달 만에 1600% 폭등하는 등 엄청난 투기와 가격 변동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과거 목격됐던 버블의 특징과 비슷하다.
WSJ는 “Fed는 과거엔 시장 거품을 다스리는 걸 권한 밖의 일로 간주했다”며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뒤 금융시장의 과잉에 대해서도 걱정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고 지적했다.
Fed는 아직까지 이번 버블 조짐에 대해선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달 20일 기자회견에서 ‘자산 버블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금융시장의 전반적 위험성은 보통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는 금리가 지금처럼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면 주가 상승폭도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WSJ는 또 “Fed는 적어도 지금까지는 증시에서 생긴 일이 과거 버블 때처럼 경제적 초과 공급을 만들지는 않고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1999~2000년 닷컴버블 때는 기업들이 앞다퉈 정보기술(IT)에 투자해 과잉 투자가 나타났다. 버블 붕괴와 함께 시작된 자본 지출 축소는 이후 경기 회복을 느리고 고통스럽게 만들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주택과 관련 대출이 과잉 공급됐고, 경제 회복엔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지금은 과잉 공급이나 투자가 없다는 것이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WSJ는 지난 30일자 ‘Powell Won’t Pop This Bubble’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주가 밸류에이션이 높아지면서 일부 사람에겐 거품 경보가 울리기 시작했다”며 “하지만 Fed가 증시 상승을 가로막을 위험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S&P500지수가 4000 근처까지 급등하면서 뉴욕증시 주가수익비율(PER)은 20배 중반까지 치솟는 등 닷컴버블 수준 이상으로 높아졌다. 비트코인 가격이 4만달러 이상으로 치솟고 게임스톱 주식도 한 달 만에 1600% 폭등하는 등 엄청난 투기와 가격 변동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과거 목격됐던 버블의 특징과 비슷하다.
WSJ는 “Fed는 과거엔 시장 거품을 다스리는 걸 권한 밖의 일로 간주했다”며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뒤 금융시장의 과잉에 대해서도 걱정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고 지적했다.
Fed는 아직까지 이번 버블 조짐에 대해선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달 20일 기자회견에서 ‘자산 버블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금융시장의 전반적 위험성은 보통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는 금리가 지금처럼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면 주가 상승폭도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WSJ는 또 “Fed는 적어도 지금까지는 증시에서 생긴 일이 과거 버블 때처럼 경제적 초과 공급을 만들지는 않고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1999~2000년 닷컴버블 때는 기업들이 앞다퉈 정보기술(IT)에 투자해 과잉 투자가 나타났다. 버블 붕괴와 함께 시작된 자본 지출 축소는 이후 경기 회복을 느리고 고통스럽게 만들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주택과 관련 대출이 과잉 공급됐고, 경제 회복엔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지금은 과잉 공급이나 투자가 없다는 것이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