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 콜센터 위탁업체들 "공들여 키운 직원을 국가가 무슨 권한으로 빼앗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담사 '직고용 파업'에 부글부글
정부가 사실상 파업 종용한 셈
민간기업 직원 빼가며 보상없어
직원 잃고 일감 끊겨 존폐 걱정
정부가 사실상 파업 종용한 셈
민간기업 직원 빼가며 보상없어
직원 잃고 일감 끊겨 존폐 걱정
“회사가 힘들게 일군 자산을 국가가 그냥 뺏어간다는 게 상식적으로 말이 됩니까.” “공산국가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콜센터) 상담사들이 지난 1일부터 ‘건강보험공단의 직접 고용’을 주장하며 파업에 들어간 데 대해 이들의 고용주인 인력공급 업체의 임원들이 일제히 분노를 쏟아냈다. 상담사들의 요구가 관철되면 근로자는 공공기관 정규직이 될 수 있지만 업체들은 회사당 최소 100명이 넘는 인력을 졸지에 잃게 되기 때문이다.
유니에스, 효성ITX, J&B컨설팅, 제니엘, 휴넥트, KTis, 메타넷엠플랫폼, 윌앤비전, 이케이맨파워, 한국코퍼레이션, 그린씨에스 등 11개 업체는 건보공단으로부터 고객센터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다. 이들 중 한 업체의 이사 A씨는 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건보공단 고객센터 업무를 맡은 상담사들은 우리가 시간과 비용을 들여 키운 회사의 자산”이라며 “공공기관이, 국가가 무슨 권리로 법적 근거도 없이 민간기업 자산을 빼앗아간다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업체의 이사 B씨는 “국가가 사기업 인력을 빼가겠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책이라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보상도 없이 밀어붙이는 게 공산국가 같다”고 지적했다. 다른 업체 부장 C씨는 “2년 이상 고객센터 경력이 있는 직원은 건보공단 공개 채용에 응시하면 가점을 주는 제도가 있다”며 “이런 정상적인 절차를 통하면 모를까, 공채도 없이 그냥 공공기관 정규직을 시켜준다면 수많은 청년이 납득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민간 수탁업체들은 이번 파업을 사실상 정부가 종용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A씨는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대책을 처음 추진한 2017년부터 민간 수탁업체 근로자도 정책 대상이라고 말해왔다”고 했다. 이어 “민간 수탁업체 직고용은 노사 자율로 결정할 사안이라고는 했지만 중앙부처부터 고객센터 업무를 직영으로 돌리는 식으로 직고용을 압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체들은 직고용이 현실화하면 피해가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11개 인력공급 업체에 소속된 건보공단 고객센터 상담사는 1623명이다. 파업 참여 인원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가입한 940명이지만, 직고용이 결정되면 1623명 모두 건보공단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B씨는 “직고용되면 우리 회사는 전체 상담사 인력의 6% 정도를 일시에 잃고 건보 위탁 매출도 사라진다”고 말했다. A씨는 “건보 일감이 없어지면 회사 존폐를 걱정해야 할 지경에 이른다”고 토로했다.
건보 고객센터 상담사들은 2일에도 이틀째 파업을 이어갔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국민건강보험고객센터지부 관계자는 “우리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무기한 파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준/노경목 기자 morandol@hankyung.com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콜센터) 상담사들이 지난 1일부터 ‘건강보험공단의 직접 고용’을 주장하며 파업에 들어간 데 대해 이들의 고용주인 인력공급 업체의 임원들이 일제히 분노를 쏟아냈다. 상담사들의 요구가 관철되면 근로자는 공공기관 정규직이 될 수 있지만 업체들은 회사당 최소 100명이 넘는 인력을 졸지에 잃게 되기 때문이다.
유니에스, 효성ITX, J&B컨설팅, 제니엘, 휴넥트, KTis, 메타넷엠플랫폼, 윌앤비전, 이케이맨파워, 한국코퍼레이션, 그린씨에스 등 11개 업체는 건보공단으로부터 고객센터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다. 이들 중 한 업체의 이사 A씨는 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건보공단 고객센터 업무를 맡은 상담사들은 우리가 시간과 비용을 들여 키운 회사의 자산”이라며 “공공기관이, 국가가 무슨 권리로 법적 근거도 없이 민간기업 자산을 빼앗아간다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업체의 이사 B씨는 “국가가 사기업 인력을 빼가겠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책이라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보상도 없이 밀어붙이는 게 공산국가 같다”고 지적했다. 다른 업체 부장 C씨는 “2년 이상 고객센터 경력이 있는 직원은 건보공단 공개 채용에 응시하면 가점을 주는 제도가 있다”며 “이런 정상적인 절차를 통하면 모를까, 공채도 없이 그냥 공공기관 정규직을 시켜준다면 수많은 청년이 납득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민간 수탁업체들은 이번 파업을 사실상 정부가 종용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A씨는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대책을 처음 추진한 2017년부터 민간 수탁업체 근로자도 정책 대상이라고 말해왔다”고 했다. 이어 “민간 수탁업체 직고용은 노사 자율로 결정할 사안이라고는 했지만 중앙부처부터 고객센터 업무를 직영으로 돌리는 식으로 직고용을 압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체들은 직고용이 현실화하면 피해가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11개 인력공급 업체에 소속된 건보공단 고객센터 상담사는 1623명이다. 파업 참여 인원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가입한 940명이지만, 직고용이 결정되면 1623명 모두 건보공단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B씨는 “직고용되면 우리 회사는 전체 상담사 인력의 6% 정도를 일시에 잃고 건보 위탁 매출도 사라진다”고 말했다. A씨는 “건보 일감이 없어지면 회사 존폐를 걱정해야 할 지경에 이른다”고 토로했다.
건보 고객센터 상담사들은 2일에도 이틀째 파업을 이어갔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국민건강보험고객센터지부 관계자는 “우리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무기한 파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준/노경목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