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오전 부산 강서구 가덕도 대항전망대를 찾아 국민의힘 부산시장 예비후보들과 함께 가덕도 신공항이라고 적힌 대형 손팻말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부산을 찾아 '가덕도 신공항'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2021.2.1 [사진=연합뉴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오전 부산 강서구 가덕도 대항전망대를 찾아 국민의힘 부산시장 예비후보들과 함께 가덕도 신공항이라고 적힌 대형 손팻말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부산을 찾아 '가덕도 신공항'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2021.2.1 [사진=연합뉴스]
오는 4월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겨냥해 국민의힘이 '한일 해저터널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일 부산을 찾아 가덕도 신공항 건설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 '한일 해저터널' 건설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김종인 위원장은 이날 수영구에 위치한 부산시당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 회의를 열고 "부산 가덕도와 일본 규슈를 잇는 한일 해저터널 건설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며 "일본에 비해 월등히 적은 재정 부담으로 생산 부가효과 54조5000억원, 고용 유발효과 45만명에 달하는 엄청난 경제효과가 기대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친일 DNA 발동", "선거가 급하긴 급한 모양"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일 해저터널은 우리나라보다도 일본에 더 이익이 되는 사업"이라며 "회의에서 북풍·친일 DNA를 말했더니 참석자들이 전적으로 공감했다. 국민의힘의 나쁜 선거용 DNA를 사라지게 하는 첩경은 국민의 심판"이라고 했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이) 보궐선거가 잘 안 돼 간다. 급하긴 급한 것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일본의 팽창적 외교정책과 대륙진출 야심에 이용될 수 있다"며 "한일 해저터널을 만들면 유라시아대륙 기종점으로서의 부산과 한반도의 지리적 이점을 상실시킬 수 있다. 부산이 일본 규슈 경제권에 편입되면 부산이 경유지화 돼 결과적으로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했다.

당 국가균형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우원식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한일 해저터널은 일본의 대륙 진출만 허용일 뿐이라는 여론 반대로 논의가 중단된 지 오래"라며 "선거를 위해 다시 튼 고장 난 레코드에 부산시민은 황당해하고 있다"고 했다.

김영춘 민주당 부산시장 예비후보도 "한일 해저터널은 이미 MB정권에서 경제성 검증이 끝나 불가 판정을 받은 사업"이라며 "게다가 동북아의 싱가포르를 꿈꾸는 부산에 오히려 찬물을 끼얹고, 대륙 진출을 꿈꾸는 일본에 날개를 달아주는 사업이라는 비판이 크다는 것을 정녕 모르나"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친일공세가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은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도 친일 DNA 가 있다고 할건가?"라고 따져 물었다.

하태경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99년 9월 한일정상회담에서 '한일 터널이 건설되면 홋카이도에서 유럽까지 연결되니 미래의 꿈으로 생각해 볼 문제'라며 한일 해저터널은 원대한 꿈이라고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2003년 2월에 '한일간에 해저터널을 뚫어 일본과 한국, 러시아를 기차로 운행할 수 있게 된다면 경제적 의미뿐 아니라 한일관계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이해돼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꼬투리 잡으려고 두 전임 대통령까지 친일DNA가 있다고 하시겠나? 지금은 가덕신공항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뉴부산 발전방향에 대해서 고민하고 토론할 때"라고 했다.

특히 직원 성추행으로 물러난 민주당 소속 오거돈 전 부산시장 역시 2016년 "한중일 3국의 공동 성장을 위한 자유로운 역내 경제, 물류환경 조성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한일해저터널 개발이 필요하다"고 발언했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