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초등학생 부모는 물론 유치원생 부모들까지 돈을 아끼지 않고 투자하겠다는 주사가 있다. 바로 아이의 최종 키를 5cm가량 키워준다고 알려진 '성장호르몬 주사'다.

연간 1000만원에 달하는 비용에도 청소년기 이전 자녀를 둔 부모들의 화두에서 빠지지 않는다. 학업은 물론 외모도 하나의 능력으로 평가받는 사회 분위기에서 자녀가 뒤처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뇌하수체에 문제가 생겨 성장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는 아이들 대상으로 만들어진 치료법임에도, 호르몬 문제가 없는 아이들까지 주사를 처방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실 원래 치료 목적에서 벗어났다 해도 효과가 확실하고, 부작용이 없다면 이를 마다할 부모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성장호르몬 주사가 아이의 키 성장을 보장해 줄 묘약이 될 수 있을까.

"성장호르몬 결핍 소아 효과 커…100% 효능 알 수 없어"

7일 <한경닷컴>이 소아과 전문의로부터 취재한 내용을 종합하면 "성장호르몬 결핍증의 이유로 키가 작은 소아에게는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모든 소아에게 드라마틱한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로 귀결된다.

성장호르몬 결핍증이 있는 소아의 경우 성장 부진이 성장호르몬 분비 문제에세 비롯되지만, 성장호르몬 수치가 정상 수준인 경우 성장 부진의 원인이 호르몬 문제와 직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안문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저신장 아이들, 성장호르몬이 부족한 아이들의 키를 키우려고 나온 주사이기 때문에 질환이 없는 아이들에게는 정확히 적응이 되는 치료는 아니다"라며 "모든 아이에게 효과가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은 '모른다'가 정확하다"고 했다.

이어 안문배 교수는 "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있는 아이들의 경우 성장이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이들을 위한 치료법이기 때문"이라면서 "그러나 질환이 없는 아이들의 경우 주사를 맞고 성장했다고 부모가 생각을 해도, 키가 큰 원인이 주사 때문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없다. 이미 검사 수치와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고 있는 상태에서 따질 기준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조성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사실 성장호르몬 결핍증이 아니더라도, 예상 키가 너무 작을 경우 치료 대상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성장호르몬이 정상 수준인 소아에게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단 모든 소아가 100%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조성윤 교수는 "예상 키와 성인이 됐을 때의 키를 비교해 효과 여부를 말해줄 수 있으나, 대상이 치료를 안 했을 때에도 현재의 키만큼 컸을 것이란 걸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서정환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내분비과 교수도 "아이가 성장호르몬 결핍증, 호르몬이 부족한 경우에는 효과를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효과를 보는 경우가 10명 중 7~8명 정도"라면서 "보통 일반적으로 외래에서 말할 때는 3년 동안 꾸준하게 치료를 하면은 최종 성인 키가 5~6cm 정도 큰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서정환 교수도 "병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에서 효과가 있는 경우가 더 많다. 아무 문제가 없는데 미용상 목적으로 하는 경우 효과가 떨어질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당뇨, 고관절 탈구 등 부작용도…단순한 미용 치료 아냐"

소아과 전문의들은 성장호르몬 주사의 효능만큼 부작용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진호 서울아산병원 소아내분비대사과 교수는 "성장호르몬 주사는 뼈세포에 작용하여 골격을 늘리고 단백질 합성과 세포 증진을 촉진한다. (때문에) 부작용으로 척추측만증, 고관절 탈구, 일시적인 당뇨병, 두통, 부종, 구토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문배 교수는 특히 호르몬 이상이 없는 소아의 경우 부작용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호르몬이 이미 잘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더 주는 것이기 때문에 부작용을 상세히 살펴야 한다. 대부분 대사 기능 부작용이 많다. 혈액검사 수치가 틀어지는 경우가 그렇다"고 했다.

이어 안문배 교수는 "대표적인 것이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다. 이같은 부분은 당뇨병의 기전이 될 수도 있다"며 "부작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미용이 아닌 치료 목적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정환 교수는 "특별히 과거에 문제가 없던 아이들이라 하면 성장호르몬을 쓴다고 해서 큰 부작용이 생기지는 않지만, 과거 암 발병 사례가 있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들은 암의 재발률과 부작용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조심해서 써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성장호르몬 주사는 처방 이후 지속적 모니터링이 더욱 중요하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안문배 교수는 "주사로 인한 부작용이라든지 건강 상태, 문제 등을 주기적으로 계속 평가해줄 수 있어야 한다. 대학병원에서는 피검사 등을 통해 몸에 문제가 없는지, 콜레스테롤 수치, 혈당, 인슐린 저항성 등을 확인하나 모든 병원이 그렇지는 않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치료를 끝내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조성윤 교수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아과 전문의의 모니터링이다. 실제로 분과 전문의 자격증이 없는 클리닉, 정형외과 등에서 치료를 받아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전문병원에서 철저한 검사를 통해 진행할 치료"라고 강조했다.

전문의들은 정상 호르몬 수치에 있는 아이들에게 성장호르몬 주사가 꼭 필요한 치료가 아님을 역설했다.

서정환 교수는 "키가 작다고 해서 주사를 꼭 맞아야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병을 가진 아이들에게는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특별한 문제가 없고 정상적으로 크는 아이들에겐 굳이 필요 없는 치료"라고 말했다.

안문배 교수 또한 "우리나라가 공부는 물론 키도 커야 하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치료를 꼭 받아야 되는 증상이 아님에도 치료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그러나 단순히 '키를 키워주세요'라는 한 마디로 진행하는 치료법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그러면서 그는 "결국 아이가 작을 경우 이에 대한 평가가 우선시돼야 하고 평가 이후 갑상선 기능 저하, 부신기능 저하 등 몰랐던 질환을 진단을 받을 경우 이를 치료하는 게 저신장을 치료하는 근본적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조성윤 교수도 "미용 목적 치료는 당연히 맞지 않다고 본다. 가끔 1년 만에 10cm가 자란다는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오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런 치료가 아니다"라며 "거의 매일 주사를 놓아야 하고, 길면 10년까지 치료를 이어가기도 한다. 미용 치료로 각인되는 것은 우려되는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최진호 교수 또한 "무분별한 주사 치료는 오히려 아이에게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