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연초 KB국민은행이 임금피크 전환·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희망퇴직으로 직원 800명이 은행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에서 지난달 30일부로 총 800명의 직원이 희망퇴직을 했다.

이는 지난해 임금피크제 희망퇴직(462명) 규모의 1.7배 수준이다. 2019년(613명), 2018년(407명)과 비교해도 크게 늘어난 규모다.

사진=KB국민은행
사진=KB국민은행
올해 희망퇴직은 지난해보다 대상 인원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퇴직 인원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희망퇴직 대상자는 1965생부터 1973년생까지로 지난해 1964~1967년생을 대상으로 했던 것보다 범위가 크게 확대됐다.

희망퇴직자에게는 23∼25개월치 급여와 함께 학자금(학기당 350만원·최대 8학기) 또는 재취업지원금(최대 3400만원)을 지급했다. 또 건강검진 지원(본인과 배우자), 퇴직 1년 이후 재고용(계약직) 기회 부여 등의 혜택도 제공했다.

앞서 작년 12월과 1월에 희망퇴직을 마무리한 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4개 시중은행에서는 약 1700명이 은행을 그만뒀다.

주요 은행들이 최대 3년치 임금에 학자금, 전직지원금 등 후한 조건을 제시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퇴직을 선택한 인원이 예년보다 대체로 늘었다.

주요 시중은행 모두 특별퇴직을 정례화하고 매년 12월에서 이듬해 1월에 직원들을 내보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 확대로 은행에 필요한 인원은 줄어들면서 은행들은 해마다 더 좋은 퇴직 조건을 걸거나 대상 연령을 넓히는 방법으로 특별퇴직을 진행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