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의 '北인권 증언' 검증해야 한다는 이인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北 인권보고서 3년째 비공개
외신 "인권유린 눈감아" 비판
유엔도 "증언이 가장 중요 정보"
송영찬 정치부 기자
北 인권보고서 3년째 비공개
외신 "인권유린 눈감아" 비판
유엔도 "증언이 가장 중요 정보"
송영찬 정치부 기자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ZA.25239180.1.jpg)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 3일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북한 인권 기록물 공개 발간은 북한 인권 증진과 함께 남북한 관계 발전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독일 사례를 보면 그때그때 기록한 것을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을 유지하다가 상당한 시간 후에 공개하는 절차를 밟았다”고 덧붙였다. 북한 인권 문제에 통일부가 입장을 밝히기조차 꺼리는 것 아니냐는 외신의 지적에 대한 답변이다.
북한인권기록센터는 2016년 시행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같은해 통일부 산하 기관으로 설립됐다. 2017년부터 입국하는 탈북자 전원을 대상으로 북한 정권의 인권 침해 사례를 조사해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보고서는 3년째 비밀문서로 지정됐다. 통일부는 지난해 9월 보고서를 공개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틀 만에 ‘확정된 게 없다’며 말을 바꿨고 결국 비공개 처리했다.
탈북자들이 혹여 ‘거짓 증언’을 할까 걱정하는 이 장관과 달리 국제사회에서는 탈북자들의 증언이 북한 인권 실태를 알리는 주요 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은 이를 피해 목숨을 걸고 탈북한 사람들이 가장 잘 알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지난해 11월 “탈북자는 가장 중요한 정보 출처원”이라며 “유엔 북한 인권 보고서는 탈북자 증언에 기반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날 이 장관을 향한 외신들의 질문은 북한 인권 문제에 집중됐다. 북한 인권과 관련해 한국의 주무부처인 통일부가 북한의 인권 유린에 눈감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우려 섞인 시각이 그대로 드러났다는 평가다. 통일부는 지난해 7월 돌연 탈북자 단체 25곳을 대상으로 사무검사를 벌였다. 이 장관은 이에 대해 “활동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당시 유엔은 한국 정부에 탈북자들에 대한 인권 침해 우려가 있다는 혐의 서한까지 보냈다. 당시 서한은 “명확한 사유 없이 북한 인권 및 탈북민 재정착과 관련한 특정단체를 검사하는 것에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탈북자의 '北인권 증언' 검증해야 한다는 이인영](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5251172.1.jpg)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