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부동산 대책과 '희소성 메시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4일 정부가 25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서울 32만3000 가구를 포함해 전국에 83만6000 가구를 공급키로 했다.
예상을 뛰어넘는 과감한 공급 확대책이 담겨 파격적이란 평가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을 것이라며 자신만만해하는 모습이다.
그러면서 ‘공급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만큼 집값이 잡힐테니 무리해서 급하게 집을 사지 말라’는 메시지가 먹히길 바라는 눈치다.
정부 발표 후 시장에선 “이번 부동산 대책이 ‘공급 쇼크’가 아니라 ‘거래 쇼크’를 초래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책 발표일(4일) 이후 사들인 주택은 공공 주도 개발이 이뤄져도 아파트 우선공급권(입주권)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투기를 막겠다는 취지지만, 시장에서는 거래의 씨가 마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기사 보러 가기
이런 상황은 마케팅의 ‘희소성 메시지’를 연상시킨다. 희소성 메시지는 소비자에게 제품의 구매 가능성이 제한돼 있다는 사실을 알려, 소비자의 심리적 압박감을 유발해, 제품 구매 의지를 강화시키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촉진 메시지다.
주택시장엔 “아파트, 이 가격으론 지금이 마지막 매수 기회입니다”식의 희소성 메시지가 만연해 있다. 그래서 영끌해서라도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정부가 희소성 메시지를 무너뜨리겠다며 대규모 공급책을 들고 나온 형국이다. 이제 사람들은 집을 사야 할 지, 기다려야 할 지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됐다.
정부가 공공 주도 정비사업을 통하면 사업 기간이 5년으로 단축된다고 했지만, 이 5년은 사업 완료 후 입주까지가 아니라 ‘주민 이주 개시 시점’까지 걸리는 기간이라서 실제 입주까지 최소 8~9년은 걸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희소성 메시지에 힘을 실어주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공공의 사업 관리 능력과 민간 재건축 단지의 참여 여부 등이 이번 대책의 성패를 가를 변수로 꼽고 있다. 이런 변수가 정부 의도에 부합하면 희소성 메시지는 힘을 잃게 된다.
현재로선 결과를 예단하기가 어렵다. 이처럼 결과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 일을 맡은 마케터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선택의 시점을 최대한 미뤄야 할까. 과감하게 한 쪽을 선택해야 할까. 미루든 선택하든 둘 다 용기는 필요하다.
장경영 선임기자 longrun@hankyung.com
예상을 뛰어넘는 과감한 공급 확대책이 담겨 파격적이란 평가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을 것이라며 자신만만해하는 모습이다.
그러면서 ‘공급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만큼 집값이 잡힐테니 무리해서 급하게 집을 사지 말라’는 메시지가 먹히길 바라는 눈치다.
정부 발표 후 시장에선 “이번 부동산 대책이 ‘공급 쇼크’가 아니라 ‘거래 쇼크’를 초래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책 발표일(4일) 이후 사들인 주택은 공공 주도 개발이 이뤄져도 아파트 우선공급권(입주권)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투기를 막겠다는 취지지만, 시장에서는 거래의 씨가 마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기사 보러 가기
■ 풀이와 비평
2·4 부동산 대책이 나오기 전까진 ‘영끌’해서 집을 사야하는 분위기였다. 코로나19 사태로 풀린 엄청난 유동성과 저금리로 아파트 값이 연일 고공행진을 해서다.이런 상황은 마케팅의 ‘희소성 메시지’를 연상시킨다. 희소성 메시지는 소비자에게 제품의 구매 가능성이 제한돼 있다는 사실을 알려, 소비자의 심리적 압박감을 유발해, 제품 구매 의지를 강화시키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촉진 메시지다.
주택시장엔 “아파트, 이 가격으론 지금이 마지막 매수 기회입니다”식의 희소성 메시지가 만연해 있다. 그래서 영끌해서라도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정부가 희소성 메시지를 무너뜨리겠다며 대규모 공급책을 들고 나온 형국이다. 이제 사람들은 집을 사야 할 지, 기다려야 할 지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됐다.
정부가 공공 주도 정비사업을 통하면 사업 기간이 5년으로 단축된다고 했지만, 이 5년은 사업 완료 후 입주까지가 아니라 ‘주민 이주 개시 시점’까지 걸리는 기간이라서 실제 입주까지 최소 8~9년은 걸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희소성 메시지에 힘을 실어주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공공의 사업 관리 능력과 민간 재건축 단지의 참여 여부 등이 이번 대책의 성패를 가를 변수로 꼽고 있다. 이런 변수가 정부 의도에 부합하면 희소성 메시지는 힘을 잃게 된다.
현재로선 결과를 예단하기가 어렵다. 이처럼 결과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 일을 맡은 마케터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선택의 시점을 최대한 미뤄야 할까. 과감하게 한 쪽을 선택해야 할까. 미루든 선택하든 둘 다 용기는 필요하다.
장경영 선임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