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로 창출될 일자리 수는 반영 안돼…고용 급감 가능성 크지 않아"
OECD "한국 일자리 10%는 자동화 위험…OECD 평균 1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일자리 10개 중 1개가 향후 자동화될 위험이 있다고 8일 진단했다.

OECD는 이날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함께 발간한 '한국의 포용성장 연구 : 모두를 위한 기회 창출' 보고서에 담긴 '일과 기술의 미래'라는 주제의 장에서 이같이 밝혔다.

OECD는 개별 일자리의 업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 자동화될 가능성이 70% 이상으로 큰 일자리의 비중이 10%라고 분석했다.

이는 OECD 전체 평균(14%)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 비중은 노르웨이(6%)가 가장 작은 반면 슬로바키아(34%)는 가장 컸다.

OECD는 "이번 수치는 잠재적인 일자리 파괴 가능성을 포착한 것으로, 새로운 기술이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의 수는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신기술로 파괴되는 일자리보다 새롭게 나타나는 일자리의 수가 더 많을 수도 있다"면서 "OECD 전체는 물론 한국에서도 급격한 고용 감소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다만 OECD는 향후 급변하는 노동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 안전망 구축과 소득·재고용 지원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OECD는 또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이가 큰 한국의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여전히 해소돼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고 짚었다.

이어 비정규직 여건을 개선하고 여성·청년·이주 노동자 등 취약 계층을 위한 직업훈련과 양질의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재벌 중심의 제조업 발달은 서비스업과 제조업,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를 초래하고 혁신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과 서비스 부문 등에 대한 세제 지원과 상품 시장 개혁 등을 권고했다.

한편 OECD는 경제·사회 변화에 신속히 대응한 정책 사례로서 '한국판 뉴딜' 정책과 코로나19 대응을 언급했다.

특히 코로나19 대응은 OECD 국가 중 가장 성공적이며, K-방역을 통한 감염 확산의 조기 차단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통한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한국의 일자리 유지에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

OECD와 KDI는 이날 '한국의 포용 성장 연구' 보고서 발간회를 열고 2019년부터 약 2년간 두 기관이 진행한 협력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OECD 포용 성장 프레임워크 지표 체계'를 적용해 한국의 포용 성장 현황을 국제적 기준으로 점검한 첫 사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