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직장을 잃어 실업급여를 신규 신청한 실직자가 2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월별 기록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유행과 통상적인 연말 계약종료, 여기에 공공일자리 사업 대부분이 12월에 종료되면서 대거 실업급여 신청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월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383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5만1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코로나19 1차 유행의 후폭풍이 가장 거셌던 지난해 5월(+15만5000명) 이후 8개월 만에 최소 증가폭인 동시에 2004년 2월 13만8000명 증가 이후 최소 증가폭이다.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5월 저점 이후 매달 꾸준히 늘어나 11월 39만4000명까지 증가했으나 12월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일자리 사업이 종료되면서 23만9000명 증가로 고꾸라졌다.

김영중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지난달 고용동향은 코로나19 3차 유행 기간이 길고 방역조치도 강도 높게 진행된 점이 그대로 반영되는 등 코로나19 상황과 밀접하게 연동돼 움직이고 있다"며 "다만 매년초 고용사정이 나빠지는 패턴을 고려하면 지난해 4~5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 축소는 공공일자리 사업 종료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인한 서비스업 위축 영향이 컸다. 지난달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943만3000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14만2000명 늘었다. 전년 동월에 비해 41만명 이상 늘었던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불과 두 달 만에 3분의 1토막이 났다. 공공일자리 사업 종료 영향이다. 공공일자리가 많은 공공행정업 가입자가 지난해 11월에는 20만5000명까지 늘었다가 12월 +6만2000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지난달에는 2만9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공공행정업 일자리 수는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 증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 중 하나다. 지난해 2분기까지만 해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공공일자리 사업도 중단됐다가 3분기에 재개되면서 고용행정 통계 지표가 좋아진 바 있다. 그러다가 정부와 지자체의 공공일자리 사업이 연말 일시에 종료되면서 전체 고용지표도 나빠진 것이다. 단기 공공일자리 사업이 고용지표를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이유다.

지난해 일년 내내 고전했던 숙박·음식업, 사업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업은 연말 코로나19 3차 유행으로 시름이 더 깊어졌다. 숙박·음식업에서만 일자리 5만4000개가 줄었고, 사업서비스업과 예술·스포츠업에서도 각각 2만명, 9000명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사라졌다. 숙박업과 직결되는 입국 관광객 수를 보면 2019년 11월 기준 123만5000명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만2000명으로 99.1% 급감했다.

방역물품 수요가 늘고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개선세를 이어갔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해 7월 -6만5000명을 저점으로 감속폭을 계속 줄여 지난달에는 1만3000명 감소했다. 마스크 등 방역용품 수요 증가로 섬유업 일자리가 늘고, 플라스틱 포장용기 생산과 공기청정기 판매가 늘면서 고무·플라스틱업과 기계장비업의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29세 이하 가입자가 다시 감소로 전환됐다. 지난해 9월 2만2000명이 줄었던 29세 이하 가입자는 10월 +3000명, 11월 +1만7000명, 12월 +2000명으로 소폭 증가를 유지했으나 지난달 2만5000명이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 고용보험 가입자는 증가폭이 줄긴 했으나 지난달에도 14만명이 증가하며 전 연령대에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21만2000명에 달했다. 기존 역대 최대였던 전년 동월(17만4000명)보다 3만8000명이 늘었다. 주로 공공행정업(+2만9000명), 사업서비스업(+2만9000명), 건설업(+2만6000명), 보건복지업(+2만1000명) 등서 증가했다.

김 실장은 "통상 연말에 고용계약이 종료되면서 연초 실업급여 신청이 늘어나는데다 코로나19 3차 유행과 공공일자리 사업 종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오는 10일 발표되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도 유사한 통계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