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 대비 지난해 승객 지하철 27%·버스 24% 줄어
지하철 연간 1조 적자…시내·마을·공항버스 도산 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지난해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이 급감하면서 공기업인 서울교통공사와 준공영제로 운영되는 버스업체들이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다.

재작년 대비 작년 승객 수가 지하철은 27%, 버스는 24% 줄었다.

특히 공항버스는 85% 줄었다.

서울교통공사의 지난해 연간 적자는 재작년의 갑절인 1조원 수준에 이르렀으며, 버스업체들은 운행 편수를 줄이고 은행 대출을 받아 연명하고 있다.

시와 시의회에서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서민 경제가 어려운 여건에서 요금 인상을 적극 추진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 `백척간두'에 선 버스업계…은행 대출로 버텨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마을버스 총 승객 수가 14억5천500만명으로 전년(19억500만명)보다 23.6% 감소했다.

공항버스의 작년 수송 인원은 212만명으로, 전년 대비 85.4%나 줄었다.

시내·마을·공항버스를 모두 합하면 지난해 승객 수는 24.1%(4억6천342만 명), 운송 수입은 29.1%(4천738억원) 감소했다.

마을버스의 경우 이용객 수 감소율 상위 10개 노선 중 8개가 대학가를 중심으로 주요 지하철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공항버스는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해 3월부터 연말까지로 따지면 승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월평균 97.1% 감소했다.

이에 공항버스 운영업체들은 도산을 막기 위해 대다수 노선 운행을 중단한 상태다.

마을버스는 전체 249개 노선 중 175개(70%)의 운행 횟수를 평균 17%, 최대 30%까지 줄였다.

이로 인해 배차 간격이 최대 15분 증가하는 등 시민 불편이 커졌다.

또 각 업체가 운송 수입금만으로는 인건비·연료비 등 기본 운영비도 충당하지 못해 폐업 위기에 놓였다.

준공영제로 시 예산을 지원받는 시내버스는 경쟁 입찰로 최저금리를 제시한 은행에서 6천억원의 대출을 받아 버티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0억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편성해 마을버스 업계에 긴급 지원했다.

하지만 시내버스는 지원을 못 받아 현재 재정 부족액이 5천608억원에 달한다.

버스업계는 "운송업이 생활 필수업종임에도 그동안 정부 차원에서 버스업계에 대한 지원책은 전무하다시피 했다"며 "이번에 정부에서 논의 중인 코로나19 손실보상에 버스업계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관계자도 "위기에 처한 버스업계 지원은 지자체 차원에서만 이뤄졌다"며 "백척간두에 선 버스업계에 지자체 지원만으로는 역부족이므로 대중교통 생태계가 붕괴하는 상황을 막으려면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서울지하철 적자 1조원…코로나19로 승객 급감
서울 지하철 1∼8호선과 9호선 2·3단계 구간을 운행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작년 지하철 수송 인원은 19억7천912만명으로, 재작년의 27억2천625만명에서 27.4%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승객 이동이 줄었기 때문이다.

공사의 운송 수입도 2019년 1조6천714억원에서 2020년 1조2천199억원으로 27.0% 감소했다.

작년 당기순손실은 1조954억원에 달했다.

서울시는 올 연말에는 서울교통공사에 약 1조5천991억원의 자금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공사는 수년간 연간 수천억원대의 만성 적자에 시달려 왔다.

서울의 지하철 요금은 2015년 인상된 후 6년째 그대로다.

또 노인 등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이 지난해에만 2천767억원에 달하는데도 중앙정부의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재정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는 지난해 여름부터 대중교통 기본요금을 200∼300원 인상하고 5km당 추가 요금을 100원에서 200원으로 올리는 안을 검토해 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운 서민 가계에 부담을 가중할 우려가 있어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공론화하지 못하고 있다.

현행 서울 지하철과 버스의 기본요금은 교통카드 사용 기준으로 각각 1천250원, 1천200원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