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곡물가격 상승에 국내도 불안…긴급 할당관세 적용 협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농식품부 "영향 최소화 대책 마련"
국제곡물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국내 수급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2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국제곡물 수급 동향 및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식량위기 우려가 고조된 데다 기상 악화, 중국의 사료 곡물 수입 확대 등이 더해지면서 국제곡물 가격은 지난해 8월 이후 꾸준히 오르고 있다.
국내 업계에서는 오는 4월 말∼5월 초 필요한 물량을 보유하고 있고, 7∼9월 소요 물량은 계약을 완료한 상황이다.
다만 국제곡물 가격 상승이 계속 이어질 경우 국내 식품물가, 사료 가격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4월부터 관계 기관, 전문가, 업계 등과 함께 국내외 곡물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대비 태세를 가동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업계의 애로사항을 발굴·해소해 국제곡물가격 상승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인 대책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국제곡물 자문위원회'를 분기별 1회씩 정례적으로 운영하면서 국제곡물 동향을 점검하고 국내 업계가 겪는 어려움을 찾아 해결할 방침이다.
현재 업계에서는 국내로 도착하는 수입곡물의 국내 통관을 신속하게 처리해달라는 요청이 있어 해당 사항을 검토 중이다.
국제곡물 가격이 추가로 상승해 업계와 농가의 부담이 가중될 경우 관련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금리를 인하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경영·가격 안정을 지원한다.
이번에 달걀에 대해 시행한 것처럼 일부 품목에는 긴급 할당관세를 적용해 물가 상승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관계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중장기적 대응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위기 시 국제곡물을 안정적으로 국내에 반입하기 위해 전문성을 가진 민간기업의 해외곡물 유통망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협력을 강화한다.
국내 소비 비중이 크지만 대부분을 수입하는 밀·콩은 자급기반을 확충하고 유사시를 대비해 비축 물량을 확대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제곡물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대응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2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국제곡물 수급 동향 및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식량위기 우려가 고조된 데다 기상 악화, 중국의 사료 곡물 수입 확대 등이 더해지면서 국제곡물 가격은 지난해 8월 이후 꾸준히 오르고 있다.
국내 업계에서는 오는 4월 말∼5월 초 필요한 물량을 보유하고 있고, 7∼9월 소요 물량은 계약을 완료한 상황이다.
다만 국제곡물 가격 상승이 계속 이어질 경우 국내 식품물가, 사료 가격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4월부터 관계 기관, 전문가, 업계 등과 함께 국내외 곡물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대비 태세를 가동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업계의 애로사항을 발굴·해소해 국제곡물가격 상승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인 대책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국제곡물 자문위원회'를 분기별 1회씩 정례적으로 운영하면서 국제곡물 동향을 점검하고 국내 업계가 겪는 어려움을 찾아 해결할 방침이다.
현재 업계에서는 국내로 도착하는 수입곡물의 국내 통관을 신속하게 처리해달라는 요청이 있어 해당 사항을 검토 중이다.
국제곡물 가격이 추가로 상승해 업계와 농가의 부담이 가중될 경우 관련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금리를 인하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경영·가격 안정을 지원한다.
이번에 달걀에 대해 시행한 것처럼 일부 품목에는 긴급 할당관세를 적용해 물가 상승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관계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중장기적 대응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위기 시 국제곡물을 안정적으로 국내에 반입하기 위해 전문성을 가진 민간기업의 해외곡물 유통망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협력을 강화한다.
국내 소비 비중이 크지만 대부분을 수입하는 밀·콩은 자급기반을 확충하고 유사시를 대비해 비축 물량을 확대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제곡물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대응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