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조강 생산량도 5년 만에 감소세…중국 1위·한국 6위
코로나 여파에 한국 조강 생산도 줄었다…4년 만에 7천만t 미달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한국의 조강 생산량이 4년 만에 7천만t을 밑돌았다.

조강 생산량 국가 순위는 전년에 이어 6위에 머물렀다.

14일 세계철강협회와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6천71만t으로 전년 대비 6.0% 감소했다.

조강은 가공되기 전 강괴 형태의 철강을 의미한다.

연간 조강 생산량이 7천만t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6년(6천860만t) 이후 4년 만이다.

2017년∼2019년 생산량은 각각 7천100만t, 7천250만t, 7천140만t이었다.

철강 산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조강 생산량이 위축된 것은 코로나19 여파로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전방 산업이 침체하면서 철강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정점이던 지난해 4월 조강 생산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15.4% 급감했다.

같은 이유로 전 세계 조강 생산량도 5년 만에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세계 조강 생산량은 18억6천400만t으로 전년 대비 0.9% 줄었다.

세계 조강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2015년(-3.1%) 이후 5년 만이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 국가별 순위는 2019년과 같은 6위에 머물렀다.

1위는 중국(10억5천300만t)으로 세계 조강 생산량의 과반(56.5%)을 차지했다.

2∼5위는 인도, 일본, 러시아, 미국이며 7∼10위는 터키, 독일, 브라질, 이란이다.

코로나 여파에 한국 조강 생산도 줄었다…4년 만에 7천만t 미달
전 세계적인 철강 수요 위축에도 중국(5.2%)과 러시아(2.6%), 터키(6.0%), 이란(13.4%)은 조강 생산량이 전년보다 늘었다.

중국의 경우 정부의 코로나19 종식 선언에 따른 내수 활성화 정책과 경기 회복으로 현지 철강사들이 생산량을 빠르게 늘린 영향이 컸다.

특히 중국은 2017년 7.8%, 2018년 6.6%, 2019년 7.9%, 2020년 5.2% 등으로 4년 연속 생산량 증가율이 5%를 웃돌았다.

2위 인도의 조강 생산량은 작년 기준 9천960만t으로 전년 대비 10.6% 감소하며 1억t 아래로 내려앉았다.

세계 조강 생산량이 줄었음에도 수요 부진이 더욱 심각한 탓에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했다.

세계철강협회는 지난해 공급 과잉 규모가 6억600만t으로 전년의 5억1천900만t보다 확대된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는 세계 경제 회복세와 원자재 가격 안정화로 철강 수요가 반등할 전망이다.

세계철강협회는 지난해 말 내놓은 보고서에서 올해 철강 수요가 작년 대비 4.1% 증가한 17억9천500만t이 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으로 현지 철강사들의 생산 확대가 주춤할 것으로 보여 공급과잉 문제도 다소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