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21일까지 핵합의 참가국 복귀않으면 IAEA 사찰 거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란이 일주일 안으로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참가국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을 대폭 제한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란 국영 IRNA통신에 따르면 사이드 하티브자데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티브자데 대변인은 "JCPOA 참가 당사국들이 21일까지 핵합의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란은 IAEA 추가의정서(Additional Protocol)의 이행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란 의회는 다른 핵합의 당사국들이 2월 21일까지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정부가 추가의정서의 이행을 중단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란은 핵확산금지조약(NPT)의 일원으로는 남겠지만, NPT 세이프가드(조사·검사 등 안전조치) 이상의 사찰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런 모든 조치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무를 준수한다면 되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미국과 적대관계가 된 이란은 2015년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 미국과 JCPOA를 타결함으로써 대미 관계를 크게 개선했다.
이란이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및 독일 등 6개국과 체결한 JCPOA는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하고 IAEA의 핵사찰을 받는 대신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IAEA는 핵합의 추가의정서에 따라 이란에 사찰단을 파견해 지금까지 제약없이 이란의 핵 시설을 사찰해 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JCPOA를 오바마의 '외교적 실패'라고 비난했으며, 2018년 일방적으로 이를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대부분 복원했다.
그러자 이란도 2019년 5월부터 단계적으로 핵합의 조항의 이행 범위를 축소했다.
대선 때부터 이란 핵합의 복귀를 공약으로 내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미국과 이란은 핵합의 복원을 위한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측은 모두 상대방이 먼저 핵합의에 따른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힘겨루기를 벌이는 양상이다.
마무드 알라비 이란 정보부 장관은 지난 9일 "서방의 제재가 계속되면 핵무기 개발에 나설 수 있다"며 미국에 핵합의 복귀를 촉구했다.
이란 고위층이 핵무기 개발을 직접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이란은 2003년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내린 파트와(최고 종교 권위자의 종교적 칙령 또는 해석)에 따라 핵무기 개발은 금지돼 있다.
하티브자데 대변인도 이날 알라비 장관의 발언을 언급하면서 "우리의 목표는 평화적인 핵 프로젝트이며, 이슬람의 관점에서 볼 때 대량살상무기(WMD)의 생산은 여전히 금지돼 있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
이란 국영 IRNA통신에 따르면 사이드 하티브자데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티브자데 대변인은 "JCPOA 참가 당사국들이 21일까지 핵합의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란은 IAEA 추가의정서(Additional Protocol)의 이행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란 의회는 다른 핵합의 당사국들이 2월 21일까지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정부가 추가의정서의 이행을 중단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란은 핵확산금지조약(NPT)의 일원으로는 남겠지만, NPT 세이프가드(조사·검사 등 안전조치) 이상의 사찰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런 모든 조치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무를 준수한다면 되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미국과 적대관계가 된 이란은 2015년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 미국과 JCPOA를 타결함으로써 대미 관계를 크게 개선했다.
이란이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및 독일 등 6개국과 체결한 JCPOA는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하고 IAEA의 핵사찰을 받는 대신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IAEA는 핵합의 추가의정서에 따라 이란에 사찰단을 파견해 지금까지 제약없이 이란의 핵 시설을 사찰해 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JCPOA를 오바마의 '외교적 실패'라고 비난했으며, 2018년 일방적으로 이를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대부분 복원했다.
그러자 이란도 2019년 5월부터 단계적으로 핵합의 조항의 이행 범위를 축소했다.
대선 때부터 이란 핵합의 복귀를 공약으로 내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미국과 이란은 핵합의 복원을 위한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측은 모두 상대방이 먼저 핵합의에 따른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힘겨루기를 벌이는 양상이다.
마무드 알라비 이란 정보부 장관은 지난 9일 "서방의 제재가 계속되면 핵무기 개발에 나설 수 있다"며 미국에 핵합의 복귀를 촉구했다.
이란 고위층이 핵무기 개발을 직접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이란은 2003년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내린 파트와(최고 종교 권위자의 종교적 칙령 또는 해석)에 따라 핵무기 개발은 금지돼 있다.
하티브자데 대변인도 이날 알라비 장관의 발언을 언급하면서 "우리의 목표는 평화적인 핵 프로젝트이며, 이슬람의 관점에서 볼 때 대량살상무기(WMD)의 생산은 여전히 금지돼 있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